성리학은 어떻게 탄생했고 한국에서 부흥했을까?
상태바
성리학은 어떻게 탄생했고 한국에서 부흥했을까?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불기도서관 <성리학의 탄생> 강좌 11월 3·10·17일 3회
조선왕조 500년을 지배해온 유교사상, 특히 그 중심에는 남송시대 주희(주자)에 의해 집대성된 ‘성리학’(주자학)이 있다.

근대화 과정에서 ‘가문’과 ‘마을’ 공동체가 해체됨에 따라 많이 약화되기는 했지만, 성리학적 사고방식은 아직도 우리 의식과 일상의 기저에서 알게 모르게 적지 않은 힘을 발휘하고 있다.

제주치과의사신협 부설 불기도서관은 11월을 맞아 ‘성리학의 탄생’을 주제로 3회에 걸쳐 특강을 개최한다. 매주 목요일 저녁 7시에 진행되며(11/3, 11/10, 11/17), 회차별 강의 주제는 다음과 같다.

11/3(목): 성리학과 동아시아

11/10(목): 정치의 주체로 등장한 사대부(士大夫)

11/17(목): 성학(聖學)의 길

이번 특강에서는 성리학 탄생의 역사적 배경과 전개 과정을 개괄하면서, 약 천 년 전 중국에서 탄생한 성리학이 왜 아직도 한국 사회에 영향을 끼치고 있는지를 알아본다.

나아가 성리학을 근본이념으로 삼은 조선 사회가 어떤 정치적 구조를 취하게 되었고, 그러한 구조가 오늘날 ‘한국인’이라는 정체성과 심성구조를 어떻게 만들어냈는지를 살펴본다.

수강료는 무료이며, 강의 신청 및 문의는 불기도서관(064-747-0551) 또는 제주치과의사신협(064-749-6416)로 하면 된다.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http://jejucu.egentouch.com/)와 블로그(http://blog.naver.com/cu11045/)를 참고하면 된다.

2012년 개관한 제주치과의사신협 부설 불기도서관은 전국 최초 인문고전 전문 도서관으로, 5천여 권의 문학/역사/철학/사회과학 등 분야의 고전과 참고서적들을 소장하고 있으며, <논어>, <신곡> 등 고전 읽기를 비롯한 다양한 강연을 진행해오고 있다. ‘불기不器’라는 이름은 <논어論語> ‘위정爲政’ 편에 “군자는 한 가지에만 쓰는 그릇이 되어선 안 된다”는 ‘군자불기君子不器’라는 말에서 차용한 것으로, 기존 틀에 얽매이지 않는 열린 도서관이 되겠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시민기자 뉴스>

<헤드라인제주 / 저작권자 ⓒ 헤드라인제주(http://www.headlinejeju.co.kr)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