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성 원전 1호기 조기 폐쇄...가동 36년 만에 역사의 뒤안길로
상태바
월성 원전 1호기 조기 폐쇄...가동 36년 만에 역사의 뒤안길로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NISI20180615_0000161244_web.jpg
한국 최초 '가압 중수로형' 원전인 월성 원전 1호기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진다.

'폐로'와 '재가동' 기로에서 원자력 업계의 '뜨거운 감자'였던 월성 원전 1호기 조기 폐쇄 결정이 15일 이뤄졌다.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에 맞춘 것이다.

경북 경주시 양남면에 위치한 월성 원전은 한국 최초의 가압 중수로형 원전이다. 설비용량은 679㎿. 1997년 캐나다에서 개발한 가압 중수로형 원자로를 착공한 뒤 1983년 상업운전을 시작했다.

월성 원전 1호기는 '저농축 우라늄'과 물을 사용하는 경수로 방식의 원전과 달리 '중수로 방식'이다. 물보다 무거운 물인 '중수'를 냉각재로 사용한다.

발전 과정에서 방사성 물질인 '삼중 수소'가 많이 나와 인근 주민들의 방사선 피폭 위험 논란이 계속됐다. 또 국내 전체 원전에서 만들어내는 '사용후 핵 연료' 절반 이상이 월성 원전 4기에서 나올 정도로 중수로에서는 '핵 연료'도 많이 나온다.

월성 1호기는 당초 설계수명 30년에 따라 지난 2012년 폐쇄될 예정이었다. 하지만 지난 2015년 2월27일 원자력안전위원회가 수명을 한 차례 연장하면서 오는 2022년 11월까지 운영될 예정이었다. 당시 노후설비 교체 및 안전성 강화를 위해 5600억원이 투입됐다.

이후 한수원과 지역 주민들 사이 보상 문제와 안전성 논란 등으로 2015년 6월이 돼서야 재가동이 시작됐다.

또 지난 2016년 경주와 포항에서 잇따라 강진이 발생하면서 노후 원전에 대한 안전성 문제가 다시 논란이 됐다. 설계수명 30년을 넘어섰지만, 여전히 가동되고 있는 월성 1호기를 빨리 정지시켜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았다.

특히 운전 시작 1년 만에 압력조절밸브 고장 등으로 2번이나 운전이 정지됐고, 경주 지진 당시에도 수동으로 운전을 멈추기도 했다.

원전 인근 주민과 환경단체들이 "안전성 검증을 제대로 하지 않았다"며 수명연장 처분을 취소하라며 소송을 제기했다. 지난해 1월 서울행정법원은 원고 측 손을 들어줬고, 원안위가 즉각 항소하면서 현재 항소심이 진행 중이다.

한수원은 이날 서울 홍은동 그랜드힐튼호텔에서 이사회를 열고 노후원전인 월성 1호기 조기폐쇄와 신규 원전인 천지(1·2호기), 대진(1·2호기) 사업을 종결하기로 결정했다.

한수원은 신규원전 사업의 원만한 종결을 위해 전원개발예정구역지정고시 해제를 정부에 신청할 계획이다. 부지 매입이 약 19% 완료된 천지원전(영덕)은 지정고시 해제 후 환매 또는 공매 등의 방법으로 토지매각을 추진할 계획이다.

한수원 관계자는 "한수원은 이번 이사회 결정에 따라 발생한 적법하고 정당한 지출비용의 보전 관련 사항은 정부와 긴밀히 협의해 추진하기로 했다"며 "월성 1호기 조기폐쇄에 따른 직원들의 고용불안 문제는 없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로써 월성 1호기는 가동 36년 만에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됐다. 지난해 6월19일 영구 정지한 고리원전 1호기에 이어 두 번째다. <뉴시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