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납토성, 138만명 투입된 아파트 5층높이 거대 성벽이었다"
상태바
"풍납토성, 138만명 투입된 아파트 5층높이 거대 성벽이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진=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사적 제11호인 '서울 풍납동 토성(풍납토성)'은 연인원 138만명이 투입된 아파트 5층 높이의 거대한 성벽이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소장 강순형)는 풍납토성의 규모와 축조 공법 등을 규명하기 위해 학제간 융합연구를 추진한 결과 이같은 사실을 확인됐다고 3일 밝혔다.

풍납토성은 백제 초기에 건설된 도성의 중요시설로, 그동안 축조 연대와 성격 등은 한국 고고학과 고대사 연구의 중요 쟁점 중 하나로 꼽혀왔다.

이번 풍납토성에 관한 학제간 융합연구는 지난 2011년 시행된 동쪽 성벽 발굴조사와 함께 진행되었으며, 축조 연대, 건설 공법, 규모, 투입 인력 등을 밝히기 위해 고고학, 영상공학, 지구물리학, 지리학, 측량학, 토목공학, 토양학, 핵물리학 등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여한 최초의 프로젝트이다.

풍납토성 동쪽 성벽은 기원후 3세기 중후반에 착공하여 4세기 중반 이전에 처음 완공됐고, 이후 4세기 말과 5세기 중반 두 차례에 걸쳐 증축되면서 규모가 확대됐다.

국립문화재연구소는 성벽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지반 조사, 토양 분석, 다짐 시험, 컴퓨터 모의실험(시뮬레이션) 등을 시행한 결과 그동안 알려져 왔던 것과 달리 풍납토성은 한강 변에 있음에도, 매우 단단한 지반에 건설되어 연약 지반의 침하를 방지하기 위해 시공하던 부엽공법(敷葉工法) 등이 나타나지 않았다고 밝혔다.

부엽공법은 가공된 기초지반 위에 점성이 높은 실트층과 패각류를 깔고, 잎이 달린 가는 나뭇가지를 이용한 고대 토목기법을 말한다.

또 성벽의 재료로 쓰인 토양의 화학 조성과 유기질 함량이 주변의 자연 퇴적토와 확연히 다르다는 사실도 확인됐다고 전했다. 이는 지반의 특성과 구조물의 하중을 정확히 계산하고, 토양의 다양한 성질을 혼합해 성토 재료의 효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었던 백제 초기의 뛰어난 과학기술 수준을 보여준다.

현재 정비된 성벽의 높이는 약 5m 내외이고, 땅속에 3m가량 묻혀있는 것을 고려하면, 남아있는 높이는 대략 8m 정도가 될 것으로 추측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성벽을 컴퓨터 모형화한 결과, 처음 성벽이 건설되었을 때의 높이는 10.8m였고, 두 차례의 증축을 거치면서 최대 13.3m까지 확대됐음이 밝혀졌다고 전했다. 연구소측은 이러한 결과는 한강 변에 아파트 5층 높이까지 흙을 쌓아 총 3.5㎞ 둘레의 거대한 성벽을 완성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복원된 풍납토성의 제원(체적 70만4200㎥)과 중국 당나라 '통전(通典, 801년)'에 기록된 인부 1인당 하루 작업량을 비교했을 때, 풍납토성의 건설에는 연인원 138만 명 이상이 투입된 것으로 추정했다.

국립문화재연구소는 이러한 연구 성과는 내년 초 보고서로 발간하여 일반에 공개할 예정이다. <헤드라인제주>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