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의 올바른 시각 가지기
상태바
4.3의 올바른 시각 가지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조혜인/대학생(제주대학교 행정학과)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3학년 조혜인
조혜인/대학생(제주대학교 행정학과)

대한민국의 아름다운 섬, 제주에서는 과거 많은 도민이 무차별적으로 학살당했었다. 4·3사건의 상처는 70여 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제주도 곳곳에 남아있다. 더욱 슬픈 사실은 4·3사건을 두고 여전히 이념의 대립이 종식되지 않았다는 점이다. 실제로, 일부 사람들은 제주 4·3사건을 4·3 폭동 사건이라고 부른다. 하지만, 우리는 4.3사건을 올바른 관점으로 바라봐야 한다.

흔히들, 4·3사건의 명칭으로 인해 4월 3일에 중점을 두고 사건을 바라보면서 4·3사건을 폭동, 항쟁, 반란 등으로 바라본다. 왜냐하면, 1948년 4월 3일은 제주에 있던 좌익 세력들이 단독선거, 단독정부 반대라는 명목으로 경찰서를 습격한 날이기 때문이다. 즉, ‘4월 3일’ 당일을 4·3 사건의 핵심으로 보면서 4·3사건을 폭동으로 바라보게 된다. 이는 4·3사건을 중점으로 개인 간 그리고 정치인들 간의 갈등을 불러일으켰다.

4·3사건은 1947년 3월 1일부터 1954년 9월 21일까지이다. 따라서, 4·3사건은 이념 간의 대립이 아닌, 유족들의 아픔을 이해하고 공감하며 나아가 다시는 이념 간의 갈등에 무고한 시민이 희생되지 않는 사회를 만드는 것을 의의로 두어야 한다.

4·3사건을 이념 간의 대립을 넘어서 이해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당시 4·3사건의 사망자는 아무것도 모르는 민간인들이 대다수였기 때문이다. 실제로, 당시 시행했던 초토화 작전과 중산간 소개령으로 인해 많은 제주 도민이 엄청나게 죽임을 당했다. 즉, 4·3사건 희생자의 대부분은 이념과는 관계없는 민간인이었다.

4·3사건이 끝나고도 제주 4·3사건의 피해자들은 육체적 고통뿐만 아니라 빨갱이라는 오명을 받는 등 정신적 고통까지 받으며 힘겨운 시간을 보내야만 했다. 오죽하면, 당시 제주도민들은 몸에 있는 상처보다 그날의 끔찍했던 참상과 억울함을 평생 말하지 못한 채 살아가는 것이 더 큰 아픔이었다고 말한다.

제주 4·3 사건의 상징 꽃인 동백꽃의 꽃말은 ‘기다림’이다. 꽃말처럼, 많은 제주 도민은 4·3사건으로 많은 마음의 상처와 육체적 고통으로 쓰러져갔지만 언젠가는 자신들의 억울함과 희생이 있었다는 사실이 밝혀지길 기다렸을 것이다.

4.3은 반드시 제대로 알고 반성하고 책임져야 할 역사이며 결코 어떠한 정치적, 혹은 지역적 논리에 의해 돌아봐서는 안 될 보편적 인권에 관한 문제이다. 그동안 침묵했다면, 이제는 소리를 내야 한다.
따라서, 이념 간의 대립을 멈추고 동백꽃의 꽃말을 기억하며 4월 3일 그날의 아픔과 고통에 공감해보자. <조혜인/대학생(제주대학교 행정학과)>

*이 글은 헤드라인제주 편집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