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곶자왈 내 LNG발전소 건설 논란...환경단체, 강력 반발
상태바
제주 곶자왈 내 LNG발전소 건설 논란...환경단체, 강력 반발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곶자왈사람들-환경운동연합, LNG발전소 건설계획 철회 촉구
"동백동산 연결 곶자왈 파괴하고, 기후위기 부추기는 계획"
25일 열린 곶자왈사람들-제주환경운동연합 공동 기자회견. ⓒ헤드라인제주
25일 열린 곶자왈사람들-제주환경운동연합 공동 기자회견. ⓒ헤드라인제주

세계자연유산인 동백동산과 연결된 제주시 구좌읍 동복리 곶자왈지대에 대규모 LNG발전소 건립이 추진되면서 논란이 되고 있다. 제주 생태계의 허파로 불리는 곶자왈 파괴로 이어질 수밖에 없는데다, 기후위기에 대응한 '탄소없는 섬' 정책에 역행하는 처사라는 비판이 쏟아지고 있다.

곶자왈사람들과 제주환경운동연합은 25일 오전 민주노총 교육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곶자왈을 파괴하고, 기후위기 부추기는 가스발전소 건설 계획을 철회하라"고 촉구했다.

이번 대규모 LNG발전소 건립은 정부가 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을 통해 제주도에 무려 600㎿의 가스발전소를 추가한다고 발표한 후 본격 추진되고 있다. 2027년 12월을 목표로 제주시 삼양동에 150㎿, 구좌읍 동복리 제주에너지공사 부지에 150㎿ 등 300㎿ 규모의 가스발전소를 건립한다는 계획이다.

한국동서발전은 동복리 지역 LNG발전소 건립을 위해 현재 환경영향평가를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LNG발전소는 '탄소없는 섬' 정책이 추진되는 제주에서 기후위기 상황을 악화시킬 수 있는데다, 환경단체의 강력한 반발에 부딪혀 적지 않은 진통이 예상된다.

곶자왈사람들과 제주환경운동연합은 기자회견에서 "동복리 곶자왈 지대에 LNG발전소 건설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사업추진을 전면 중단할 것을 촉구했다.

이들 단체는 "기후위기가 끝을 알 수 없을 만큼, 전 세계를 강타하고 있는데, 기후위기를 넘어 기후재난의 시대가 도래한 것"이라며 "이 위기를 벗어나는 방법은 빠르게 화석연료를 퇴출하고 100% 재생에너지로 전환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그런데 이런 위기상황에 정부는 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을 발표하며 제주도에 무려 600㎿의 가스발전소를 추가한다고 밝혔다"면서 "대규모 가스발전을 짓는 문제에 있어 두 곳의 계획 다 문제지만 이번에 더 큰 문제가 드러난 곳이 바로 동서발전이 추진하는 구좌읍 동복리 가스발전소 부지다"고 지적했다.

25일 열린 곶자왈사람들-제주환경운동연합 공동 기자회견. ⓒ헤드라인제주
25일 열린 곶자왈사람들-제주환경운동연합 공동 기자회견. ⓒ헤드라인제주

이들 단체는 "이곳은 제주에너지공사가 부지의 96%를 그리고 제주도가 4%를 소유한 도민의 공유지"라며 "더욱이 이 땅은 대표적인 곶자왈지대로, 거문오름에서 흘러나온 용암으로 형성된 곳으로 동백동산과 이어지는 곳"이라고 주장했다.

또 "제주도는 2022년 ‘제주 곶자왈지대 실태조사 및 보전‧관리방안 수립' 용역을 마무리하고 식생보전가치가 ‘매우 높음’과 ‘높음’에 해당하는 곶자왈은 보호가 필요하다고 제시했는데, 곶자왈사람들과 제주환경운동연합의 환경 조사 결과 사업예정지는 이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어 "사업예정지에는 멸종위기야생생물 1급인 제주고사리삼을 포함해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이자 환경부 지정 국가적색목록인 흑난초, 나도고사리삼, 새우난초, 백량금, 호랑가시나무 등이 확인됐다"고 설명했다.

이들 단체는 "게다가 동서발전이 가스발전소를 추진하는 이유는 탄소배출을 저감하고 기후위기에 대응하기 위해서라고 한다"면서 "하지만 천연가스를 태우는 것 자체가 기후위기를 촉발하는 문제라는 점, 곶자왈이 막대한 탄소흡수원이라는 점을 고려한다면 사업 목적에도 전혀 부합하지 않는다"고 반박했다. 

또 "실제 곶자왈의 연간 흡수하는 탄소의 양은 약 16만6000t으로 배기량 2000CC급 중형차 4만1500대가 연간 2만㎞를 운행하면서 발생시키는 이산화탄소의 양과 맞먹는 수치라고 보고된 바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에 더해 동서발전은 수소를 전소하기 위한 시설이라고 강변하지만, 현재까지 국가계획을 포함해 개별 발전자회사들의 계획을 보더라도 수소 전소 시점은 아예 특정조차 되지 않으며 절반 정도를 혼소하는데 도달하는 시기 역시 2040년 이후로 보고 있다"면서 "문제는 가스발전소에 활용되는 연료의 절반이 수소로 바뀐다 하더라도 실제 탄소배출 저감은 고작 23%에 불과하다"고 꼬집었다.

이들 단체는 "기후위기를 부추기고 기후위기 대응에 핵심 공간인 곶자왈을 파괴하는 것은 불필요한 일이고, 그렇기에 동서발전 스스로 이번 사업의 중단을 결단해야 할 것이라며 동서발전의 즉각적 사업계획 철회를 촉구했다.

제주에너지공사에도 화살을 겨냥했다.

이들 단체는 "해당 부지의 96%는 제주에너지공사의 땅인데, 제주에너지공사 해당 부지를 임대 또는 매각할 의지가 없다면 이 사업은 실현 불가능하다"며 "제주에너지공사는 도민의 공기업으로 곶자왈의 보전책무와 기후위기 대응의 책무를 부여받고 있는데, 이런 책무를 방기해 동서발전의 경거망동에 힘을 보태지 말 것을 강력히 경고한다"고 전했다.

또 "제주도 역시 제주에너지공사에 대한 관리와 감독의 권한을 가진 만큼, 동복리 곶자왈 지역을 보전하기 위해 진정성있는 행동을 보여라"고 촉구했다. <헤드라인제주>

25일 열린 곶자왈사람들-제주환경운동연합 공동 기자회견. ⓒ헤드라인제주
25일 열린 곶자왈사람들-제주환경운동연합 공동 기자회견. ⓒ헤드라인제주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