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산섬 제주 용암층, 지하수 흐름 주요 요인"
상태바
"화산섬 제주 용암층, 지하수 흐름 주요 요인"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주도 지하 용암층 사이의 고토양층이 제주도 지하수 흐름을 결정하는 주요한 요인이라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제주특별자치도 세계유산본부는 이 같은 내용을 담긴 '야외지질학적 관찰을 통한 제주도 지하수 모델 제안' 논문이 대한지질학회에서 발행하는 학술지 '지질학회지'에 게재됐다고 24일 밝혔다.

제주도나 하와이, 카나리 제도와 같이 대부분의 수자원을 지하수에 의존하는 화산섬에서 지하수의 부존형태와 흐름특징을 파악하는 것은 수자원의 관리와 예측을 위해 매우 중요한 연구과제로 꼽힌다.

그러나, 종전까지 제주의 경우 지질적 특징을 고려한 지하수 모델이 없어 한반도 육지부의 방법으로는 지하수 흐름을 예측 관리하는데 있어 어려움이 많았다.

게재된 논문에는 수월봉 해안가나 채석장에서 흔히 관찰되는 용암층 사이에 끼어 있는 점토질 퇴적층의 역할을 주목했다.

균열과 기공이 많아 투수성이 좋은 화산암층과 비교할 때, 점토질 퇴적층은 상대적으로 지하수를 잘 통과시키지 않아 지하로 스며든 지하수를 차례로 모아 아래로 흘러가게 하는 역할을 한다고 분석했다.

이번 연구 성과는 세계유산본부가 2015년부터 수행해온 '제주도 고토양을 이용한 화산분출' 시기 규명연구에 다른 것으로, 당시 거문오름, 다랑쉬, 일출봉, 송악산 등 주요 오름의 연대를 연구한바 있다.

이러한 연구과정에서 고토양층이 물을 잘 통과시키지 않는 특성을 갖기 때문에 지하수에 크게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라는 아이디어를 얻어, 이를 토대로 기존의 제주도 지하수 연구결과들을 종합 검토했다.

김홍두 세계유산본부장은 "이번 연구에서 제안된 너와모델은 제주도 관정지하수와 용천수 모두에 적용이 가능하며, 이들 지하수가 서로 성인적으로 연계된 것이기에 통합적인 관리와 모니터링을 위한 기초 모델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헤드라인제주>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