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저터널, 확정하기 어려워 검토중...아직 결정 못했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가 13일 제주도를 방문해 지역 공약을 발표한 가운데, 지역 내에서 최대 갈등이슈인 제주 제2공항 문제에 대해서는 "상황을 좀더 지켜보겠다"는 유보적 입장을 밝혔다.
이 후보 공약 검토 과정에서 촉발됐던 해저터널(서울-제주 고속철도 건설) 논란에 대해서도 "검토 중"이라며 일단 한발 물러섰다.
이 후보는 이날 오전 제주4.3평화공원 평화교육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환경산업의 중심, 평화·인권·환경수도, 제주'를 만들기 위한 제주지역 공약을 발표했다.
이 후보는 제주지역 9대 핵심공약으로 △'폐기물 제로' 순환자원 혁신도시 육성 △탄소중립 선도지역 육성 △제주형 기본소득 시범 도입 △제주4.3의 완전한 해결 △중앙-지방정부간 협력모델 구축과 제주의 자치분권 완성 △제주도 국가 항만 인프라 확충 △상급종합병원 지정 및 감염병 전문병원 설치 △일과 휴식, 관광을 충족하는 워케이션 성지 조성 △바이오헬스 및 우주데이터 산업 육성을 제시했다.
그동안 지역 선대위 차원에서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 공약과 대립각을 세웠던 제2공항과 신항만 건설, 해저터널 등 개발이슈는 이번 공약 리스트에는 포함되지 않았다.
다만, 이 후보는 기자들과의 일문일답 과정에서 이에 대한 입장을 짤막하게 밝혔다.
이 후보는 먼저 제주 제2공항에 대한 입장을 묻자, "제2공항은, 주민들간 논쟁도 매우 격화되고 있고, 타당성과 정부의 방침도 매우 달라서, 쉽게 어느 방향으로 단언하기 어렵다"면서 "전에도 그랬지만, 상황을 지켜보는 것이 맞다"고 피력했다.
이어 "지역 현안은 주민들의 의사가 존중돼야 한다는 입장"이라는 점도 부연하기는 했으나, 이 후보의 입장은 일단 상황을 지켜보겠다는 것이 핵심이다.
즉, 제2공항 건설 타당성을 놓고 벌어지고 있는 주민들간 논쟁, 정부 방침 등을 지켜본 후 방향을 결정하겠다는 취지의 다소 유보적 입장으로 풀이된다.
이 후보가 타 지역 공약 발표 자리에서 언급하면서 큰 논란이 일었던 서울-제주 고속철의 해저터널 건설 문제에 대해서는 이번 대선 공약에서 빠지기는 했으나 여전히 검토 중에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 후보는 해저터널을 검토하다가 공약에서 제외했는데 이에 대한 앞으로 구상을 말해달라는 질문에, "(해저터널은) 오래된 논쟁거리다. 저희로서는 확정하기 어려워서 검토중이라는 말씀 드린다. 아직은 결정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이는 역으로, 이 공약을 완전히 철회한 것이 아니라, 앞으로 검토를 거쳐 이의 추진 여부를 결정하겠다는 의미로 전해졌다.
이날 오후 서귀포매일올레시장을 방문한 자리에서도 기자들이 서울-제주 고속철에 대해 다시 묻자, "지역 공약에 대해서는 다음 기회에(답하겠다)"고 말했다.
제주 신항만 건설에 대해서는 직접적으로 언급하지 않았다. 다만, 9대 핵심공약을 통해 '국가항만 인프라 확충' 및 '국제크루즈 거점항만' 지원을 제시했다.
이 후보는 "제주의 미래 성장기반인 국가항만 인프라를 확충하여 사람과 물류의 자유로운 이동권을 확대하겠다"면서 "구도심 지역에 도시재생사업을 추진하고 국제 크루즈 거점항만으로서 해양문화 플랫폼 역할을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신항만 건설은 민선 6기 도정에서 처음 건의된 후 추진됐고, 2017년 대선 당시 문재인 대통령의 대선 공약에 포함되면서 기본계획 고시가 이뤄진 상태이나 탑동 해상을 대단위로 매립해야 하는 등의 환경성 문제가 불거지면서 여전히 찬반 논란이 많다.
이러한 가운데, 민주당 제주선대위가 최근 신항만 개발에 대해 '난개발' 취지로 비판을 가하면서 이 후보의 입장이 주목됐다.
앞서 지난주 제주를 방문한 윤석열 후보는 △제주 제2공항 조속 착공 △초대형 크루즈선 접안 가능한 제주 신항만 건설을 공약으로 제시한 바 있다. <헤드라인제주>
딱 민주당스럽다.
그러니 깜도 안되는 불과 몇개월밖에 준비안한 윤석열한테도 고전하는거다.
캠프에 있는 사람들이 도대체 뭐하는 사람들이냐?
답답~하다!ㅈ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