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 속의 섬' 제주 우도, 약 7만년전 생성
상태바
'섬 속의 섬' 제주 우도, 약 7만년전 생성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새 측정방법 도입...기존 8.6만~10만→7만년 변경

지금까지 약 8만6000년에서 10만2000년 전 사이에 생성된 것으로 추정돼 왔던 제주 우도가 사실은 약 7만년 전 생성됐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제주특별자치도 세계유산본부(본부장 김창조)는 '섬 속의 섬' 우도가 지금으로부터 약 7만 년 전 형성됐다는 새로운 연구결과를 얻었다고 16일 밝혔다.

우도는 섬 남쪽은 높은 지형을, 북쪽은 완만한 대지를 이루고 있다. 이는 우도의 화산분출 양상과 관계가 있는데, 형성 초기에 바닷물과 마그마가 만나 격렬히 폭발하면서 화산재를 쌓아, 비교적 높고 경사진 응회구라는 수성화산체를 형성했다.

우도 남쪽에 높은 지형과 절벽에 드러난 경사진 화산재층이 이 시기에 형성된 것으로, 이후 비교적 짧은 시간동안 화산활동 소강상태를 거쳐, 새롭게 용암이 분출해 우도북쪽에 넓게 분포하는 용암 대지가 형성된 것이다.

최근 연구에서는 우도 소머리현무암과 소머리오름 경계에서 섬 생성 초기에 분출한 용암과 후기에 분출한 용암에 대해 광여기루미네선스 연대측정 기법을 통해 생성 시기를 측정했다.

이 기법은 퇴적물 내의 석영입자가 시간이 흐름에 따라 주변 토양으로부터 방출되는 이온화방사선에 노출이 돼 그 에너지를 결정내부에 축적하는 특성을 이용한다.

이 석영입자에 일정한 파장의 빛을 쪼여주면 축적된 에너지가 루미네선스로 발생되는데, 이 때 발생하는 루미네선스의 양은 석영이 퇴적된 이후 경과된 시간에 비례하기 때문에 이 원리를 이용해 석영이 퇴적된 퇴적층의 연대를 측정할 수 있는 것.

우도1.jpg

김창조 세계유산본부장은 "제주에는 360여개의 오름들이 분포하는데 우리는 지금까지 10여 개의 오름 생성연대만을 알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 본부에서는 앞으로도 오름의 생성시기와 형성과정, 그 지질학적 특징을 밝히는 연구를 지속 추진해, 세계자연유산ㆍ생물권보전지역ㆍ세계지질공원의 명성에 걸맞는 자연자원컨텐츠들을 발굴해 나갈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한편 세계유산본부는 지난 2015년부터 제주 자연자원 중 하나인 오름의 형성시기를 밝히는 연구를 지속적으로 추진해 왔다. 그 결과 세계유산인 거문오름, 일출봉을 비롯해 제주의 곶자왈을 형성한 오름의 분출시기를 새롭게 밝히는 성과를 거두었다. 최근에는 한라산 정상부를 이루는 용암돔과 백록담의 형성시기와 형성과정을 규명하기도 했다.<헤드라인제주>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