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방큰돌고래 비봉이, 17년만에 고향 바다로 돌아갔다
상태바
남방큰돌고래 비봉이, 17년만에 고향 바다로 돌아갔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수족관에 남은 마지막 돌고래 비봉이, 야생적응 훈련 마치고 방류
17년만에 바다로 돌아간 남방큰돌고래 비봉이. (사진=해양수산부)
17년만에 바다로 돌아간 남방큰돌고래 비봉이. (사진=해양수산부)

수족관에 갇혀있는 마지막 남방큰돌고래 ‘비봉이’가 마침내 고향인 제주바다로 돌아갔다. 17년만의 귀환이다.

해양수산부는 남방큰돌고래 ‘비봉이’가 약 70일 간의 야생적응 훈련을 성공적으로 마치고 16일 제주 바다로 되돌아갔다고 17일 밝혔다.

해수부는 이날 야생 돌고래 무리가 주로 서식하고 있는 위치로 ‘비봉이’의 가두리를 이동시켰고, 오전 9시 40분 경 야생 돌고래 무리가 가두리 근처로 접근하자 비봉이를 방류했다.  

비봉이는 2005년 4월, 제주 한림읍 비양도 앞바다에서 포획된 이후 약 17년 동안 퍼시픽랜드(㈜호반호텔앤리조트) 수족관에 갇혀 지냈다. 

당시 함께 지내던 남방큰돌고래 네 마리(삼팔이, 춘삼이, 태산이, 복순이)는 2013년 제돌이와 함께 제주 앞바다로 방류됐지만 비봉이는 남겨졌고, 국내 수족관에 마지막으로 남은 남방큰돌고래가 됐다.

해수부와 제주특별자치도는 비봉이의 방류를 결정하고, 지난 8월부터 야생적응 훈련을 진행했다.

비봉이는 서귀포시 대정읍 앞바다에 설치된 해상가두리로 옮겨와 현장적응훈련을 잘 수행해왔다. 

빠른 조류와 높은 파도 등 제주도 연안의 야생 바다 환경에 적응했고, 살아있는 물고기를 사냥하는 데에도 익숙해졌다.

야생 돌고래 무리와도 매일 접촉하는 모습을 보여 야생생태계에 빠르게 적응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야생 돌고래 무리와 접촉하는 동안 의사소통하는 음파가 지속적으로 포착되었고, 물 위로 뛰어올라 떨어질 때 몸을 수면에 크게 부딪혀 소통하는 모습도 관찰됐다. 이는 일부러 물보라를 크게 일으켜 주변의 동료들과 의사소통을 하기 위한 행동으로 해석됐다.
 
해수부는 비봉이가 바다로 떠난 시점부터 위치 및 이동상황, 생존여부 및 건강상태, 야생무리와의 동행 등에 대해 집중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있다. 

등지느러미에 부착된 지구 위치측정 체계(GPS) 신호를 통해 위치와 이동상황을 확인하고, 선박과 드론 등을 통해 건강상태도 직접 관찰하고 있다. 최소 한 달은 육상 3개 팀, 선박 2척 등을 활용해 매일 육상과 해상에서 추적해 관리할 예정이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비봉이’가 야생에 잘 적응했다는 것이 확인될 경우 다음 단계인 ‘정기 모니터링’ 단계로 전환한다. 최소 6개월은 한 달에 한 번 5일 이상 연속으로 ‘비봉이’ 상태를 관찰할 계획이다. 
  
만약, 모니터링 과정에서 비봉이가 제대로 적응하지 못하고 야생에서의 생존이 어렵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재포획해 수족관에서 다시 보호하고 관리하게 된다. 재포획 이후의 관리방안에 대해서는 ‘방류협의체’ 논의를 통해 결정할 예정이다.

17년만에 바다로 돌아간 남방큰돌고래 비봉이. (사진=해양수산부)
야생적응 훈련 중인 남방큰돌고래 비봉이. (사진=해양수산부)

한편, 해수부는 비봉이 해양방류 과정에서 축적된 경험과 기록을 향후 관련 연구 및 학술자료 등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야생적응훈련 및 해양방류 과정 전반을 담은 영상자료와 백서를 제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조승환 해수부 장관은 “그 동안 많은 우려와 어려움이 있었지만 ‘비봉이’는 힘들고 외로운 야생적응훈련을 성공적으로 마치고 17년만에 고향 바다로 돌아갈 수 있게 되었다. 국민들의 응원과 관심에 감사드린다"면서, “앞으로 해양수산부는 ‘비봉이’를 비롯한 해양동물의 복지를 개선하기 위한 정책을 강화해나가겠다"고 말했다. <헤드라인제주>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