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도 모르는 '대피소', 공무원들은 알까?
상태바
아무도 모르는 '대피소', 공무원들은 알까?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데스크논단] 지진해일 대책, 주먹구구식으론 안된다

지구촌에 연일 생생하게 방영되는 일본 대지진의 피해현장은 참혹하고, 끔찍하기 그지 없었다. 그야말로 '대재앙'이었다.

세계 각 국은 구호의 손길을 보내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자국의 안전성을 다시 점검하는 계기로 삼고 있다. 지난 21일 제주에서도 지진해일 대책을 논의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제주특별자치도 소방방재본부가 제주도의회 복지안전위원회에 지진해일 대책 업무보고를 한 것이다.

제주의 지진해일 대책은 간략간략하게 제시됐다.

지진해일이 발생하면 재난대책본부를 운영하는 것을 원칙으로 해, 강도 4.0-4.9 규모의 지진이나 지진해일주의보가 발령될 때에는 1단계 비상근무를, 그 이상의 지진이나 지진해일경보가 발령될 때에는 2단계 비상근무를 하겠다고 밝혔다.

1단계에서는 지진정보를 신속하게 전파하고 방송사에 재난방송을 요청하는 것을 주요 매뉴얼로 제시했다.

2단계에서는 재난방송을 통한 긴급대피 등 국민행동요령을 홍보하거나 전파하고, 인명구조 및 이재민 구호, 재해지역 피해수습에 나선다.

여기까지만 보면 상황별 매뉴얼이 매우 간단하다. 그러나 일본 대지진 현장을 살펴봄 속에서, 과연 이러한 매뉴얼이 실행된다면 과연 얼마나 신속하게 체계적인 대응이 이뤄질 수 있을까 하는 점에 대해서는 여전히 의문으로 남는다.

도의회가 지적한 바도 바로 이 때문일 것이다.

우려되는 상황은 크게 3가지였다.

하나는 만약 지진해일이 발생했다면 이 상황을 과연 얼마나 신속하게 전파할 수 있는가 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위험지역 내에 있는 시민들이 대피할 장소는 제대로 확보돼 있는가 하는 점이다. 그리고 과연 제주의 주요 건물들은 지진에 안전한가 하는 문제다.

#"상황 발생하면, 과연 신속하게 전파 가능한가?"

첫번째, 신속한 상황전파 문제에 있어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는 한두가지가 아니다. 소방방재본부는 방송사에 재난방송을 요청하는 방법을 제시했지만, 이것만으로는 부족하다.

지난 2007년 태풍 나리 때의 일을 상기해볼 필요가 있다. 짧은 시간내에 엄청난 비가 내리면서 제주섬 전체가 사상 유례없는 물난리가 났을 때 곳곳에서 정전이 발생했다. 정전인 상황에서는 TV도 무용지물이 될 수밖에 없다.

가장 좋은 방법은 소거점별 비상 사이렌과 함께 비상안내방송을 통해 긴급하게 알려내는 것이다. 그렇다면 제주에는 경보시스템이 얼마나 잘 구축돼 있는가.

제시된 자료를 보면 민방위 경보사이렌은 해안지역 25개소를 비롯해 37개소가 전부다. 자동음성 통보시스템은 해안지역 120개를 포함해 218개소에 설치돼 있다.

그러나 이것만으로는 부족한 점이 없지 않다. 경보사이렌이 설치된 곳은 지진해일 발생시 인명피해가 우려되는 해안가를 중심으로 돼 있다. 이 중에서는 경보가 울려도 소리를 제대로 듣지 못하는 '난청' 지역도 꽤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 시스템을 제대로 점검하고, 시설을 보강해야 한다.

또한 지진발생시 기상청에서 보내지는 SMS 대상자는 제주에서 1200여명에 불과한 실정이다. 기상청이 아니더라도 소방방재본부에서 신속하게 상황을 전파할 수 있는 대단위 SMS 송출체제를 구축해야 한다.

#"주민도 모르는 '대피장소', 재점검 필요하다"

두번째, 위험지역 내 시민들의 대피체제도 제대로 점검해야 할 사안이다. 지진해일이 발생했을 경우 인명피해가 우려되는 35개 지역이 있다고 보고하고 있는데, 대피장소는 40개소다.

문제는 이 대피장소의 수용인원이 해당 전체 주민의 20% 정도에 불과하다는 점이다.

더욱 우려스러운 점은 <헤드라인제주>가 이와 관련한 해당지역 주민들과 별도 인터뷰를 한 결과 주민들은 정작 대피장소가 어디로 정해졌는지 단한번 안내문을 받아본 적도 없다는 것이다.

다분히 주먹구구식으로 대피장소가 지정돼 있음을 느끼게 하는 부분이다. 해당지역 읍.면.동 공무원들은 정확히 알고 있을까?

여기에 우려지역 35곳 중 상황을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는 CCTV 설치장소가 13곳에 불과하고, 설치된 장소 또한 사각지대가 많다는 문제가 제기됐다.

결국 제주에서 지진해일이 발생할 경우 신속하게 주민들을 대피시킬 수 있는 준비는 갖춰져 있지 않은 셈이다.

#"제주에서 안전한 건물은 어디인가?"

세번째, 제주의 주요 건물의 내진 실태다. 현행 건축법 시행령에서는 3층 이상또는 높이가 13m 이상 건축물, 혹은 연면적 1000㎡ 이상 건축물의 경우 내진설계를 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제주도내 3층 이상 건축물 1만3427동 중 내진설계가 된 건물은 31.6%인 4253동에 불과하다. 정작 재해가 발생하게 되면 진두지휘를 해야 할 '사령부'인 소방방재본부나 소방관서 건물 역시 내진설계가 돼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위험지역 주민들이 대피해야 할 대피소 역시 불안하기는 마찬가지다.

다행히 소방방재본부는 이번 일본 대지진을 계기로 해 앞으로 경보시스템을 점검하는 한편 난청지역에 추가로 경보사이렌을 설치하겠다고 밝혔다. 인명피해 우려지역에 대한 재조사를 실시하고, 대피소도 점검하겠다고 밝혔다.

늦은 감이 있지만, 이제라도 서둘러야 할 일이다. 여기에 한가지 보탠다면 위험지역 주민들에 대한 정확한 매뉴얼 전달이다. 상황이 발생하면 어디로 대피해야 할지를 명확히 전달해야 한다는 것이다.

사면이 바다인 제주의 경우 해상 재난에도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시스템 구축이 이뤄져야 한다. 일본 지진 해일이 불러온 재앙이 결코 남의 일처럼 느껴지지 않기 때문이다. <헤드라인제주>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1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쓰나미 2011-03-23 08:56:12 | 122.***.***.150
맞는 말이다 대피소라는 것은 이용할 시민들이 먼저 알아야허는데 시민이 모르는 대피소는 말이 안된다
경보사이렌도 잘채크하심이
지진발생후 해일이 밀려오는 시간이 뉸껌짝헐새인데 이런 상황으로는 우왕좌왕 할수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