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의 날에 생각하는 가족친화문화
상태바
인구의 날에 생각하는 가족친화문화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장신옥의 가족친화문화로 여는 새 제주] (1) 일과 가정, 그리고 출산율

1987년 7월 11일, 세계인구는 50억에 도달하게 된다. 세계인구는 1800년에 10억에 도달한 바 있다. 유엔개발계획은 이러한 세계인구증가가 가져올 변화들에 관심을 가졌고, 다양한 세계인구 쟁점에 대한 대중의 관심을 독려하기 위해 1989년 들어 7월 11일을 인구의 날로 정했다.

세계인구는 계속 늘고 있으나 (2021년 현재 79억) 각 나라의 인구성장률은 다르다. 우리나라는 인구성장률이 0.37로 인구성장이 크게 느려진 국가 중 하나이다. 그것은 출산력이 계속해서 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21세기 한국 사회 성격을 규정짓는 핵심적인 현상이다. 한국의 출산력 변화는 가히 극적이다. 1965년에 5.6이었던 출산력은 2020년에 0.84로 떨어져 세계 최저수준이 됐다. 제주지역 역시 육지부에서의 사회적 유입으로 절대 인구수는 조금씩 증가하고 있지만, 출산력은 그렇지 않다. 2005년부터 2012년까지 제주지역 출산력은 1.30에서 1.60까지 조금씩 증가했으나 2016년부터 2020년까지는 계속 감소추세에 있다 (2020년 제주지역 출산력 1.02).

출산력이 지속해서 떨어지는 원인에 대해서는 다양한 진단이 있다. 그러나 여성의 달라진 사회적 위치를 전통적 성역할 규범이 담아내지 못한다는 점에 대부분 동의한다. 예컨대, 1985년 남녀 대학 진학률의 차이는 약 12%이었지만, 2010년에는 2%로 감소한다. 남녀의 노동시장 참여율 차이 역시 1970년에는 37%가량이었으나 2011년에는 23%로 감소한다. 이와 달리 성역할 규범은 크게 달라지지 않아 한국 남성이 가사노동을 하는 데에 쓰는 시간은 OECD 국가 중 가장 적다.

이처럼 여성들이 높아진 교육적 성취를 바탕으로 노동시장에 진입했을 때 출산과 한 자녀 이상의 자녀계획을 세우게 될 때까지는 다양한 내적 드라마를 경험하게 되리라는 것을 예측할 수 있다. 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일하는 기혼여성의 경우 남편의 가사노동에 참여하는 시간이 길수록 자녀 1명을 둔 여성의 둘째 아이 출산 의향도 높아진다.

기혼여성의 경력지속/단절과 평균 자녀수와의 관계를 보여준 연구에 따르면, 여성의 교육수준에 따라 노동시장에서의 직종과 임금이 크게 다르며 그것은 자녀수로 귀결된다는 점을 시사한다. 예컨대, 후기노동진입형(결혼 전 일을 안 했으나 현재 일하고 있는 경우)와 노동재진입형(결혼 전 일을 했으나 결혼과 함께 일을 쉬었고 현재는 일하는 경우) 여성들의 자녀 수는 가장 많았지만, 노동지속형(결혼 전 일을 했고 결혼 후에도 일을 쉬지 않는 경우) 여성들의 자녀 수가 가장 적었다. 후기노동진입형과 노동재진입형에 속하는 여성들은 노동지속형 여성에 비해 교육수준과 노동시장에서의 위치가 상대적으로 낮았다.

한국 남성의 가사노동 참여율이 낮은 데에는 전통적 성역할 규범도 있지만, 장시간 근무를 해야 하는 노동환경도 한몫한다. 노동지속형의 여성들이 출산을 위해 경력을 포기하지 않으려고 하는 데에는 그렇게 하는 데서 오는 기회비용(높은 임금과 직위)이 너무 높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일과 가정이 균형을 이룰 수 있는 근무환경이 조성되지 않는 한 출산율의 반등은 기대하기 어렵다는 점을 말해준다. 인구의 날에 가족친화 문화의 중요성을 되돌아본다. <장신옥 / 제주가족친화지원센터장>

장신옥 / 제주가족친화지원센터장.ⓒ헤드라인제주
장신옥 / 제주가족친화지원센터장. ⓒ헤드라인제주

장신옥 제주가족친화지원센터장은...

장신옥은 제주 출생으로 제주에서 사회학을 배웠고, 호주(퀸즐랜드 대학)에서 박사과정을 마쳤다. 성균관대와 제주대에서 사회학을 강의했다. 지금은 제주여성가족연구원 산하에 있는 제주가족친화지원센터의 센터장으로 일하면서 제주도정의 가족정책사업인 가족친화인증기업 발굴사업과 수눌음돌봄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장신옥의 가족친화문화로 여는 새 제주> 칼럼은 센터의 사업을 도민에게 알리고 제주 사회에 가족친화문화가 정착되는 방안을 도민과 함께 생각해보려는 취지에서 마련되었다. 매달 ‘가족친화문화’를 주제로 제주의 일터와 가족에 대한 다양한 생각들이 연재될 예정이다. [편집자 주]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4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기회비용 2021-07-12 17:47:49 | 175.***.***.27
인류 역사상 현 세대가 가장 교육을 많이 받은 세대일 것이다. 이런 세대들에게 애를 낳는 댓가로 경력단절을 하라고 하면 누가 낳을것인가. 생색내기 정책지원이 아니라 정말 심도 있게 고민해야할 시점이다. 정부의 여가부도 이젠 정신차려야 한다

윤진한 2021-07-12 16:36:46 | 122.***.***.140
파리 1대(프랑스), 옥스포드대(영국), 하이델베르크대(교황윤허,독일),야기엘로니안대(폴란드) 총장등 참석.

http://blog.daum.net/macmaca/1467

http://blog.daum.net/macmaca/733

윤진한 2021-07-12 16:36:01 | 122.***.***.140
최고 교육기관 성균관의 정통 승계 성균관대는 국내외에서 6백년 넘는 역사를 행정법.국제관습법으로 인정받고 있음.Royal성균관대.세계사의 교황반영, 교황윤허 서강대는 국제관습법상 성대 다음 Royal대 예우.패전국 일본 잔재이자, 불교 Monkey 경성제대 후신 서울대는 한국영토에 주권.자격.학벌 없어왔음

*성균관대로 정통을 승계하기로 하자, 미군정이 향교재단의 재산으로 성균관대 재정에 기여토록 하는 법을 추가로 만들어 주어, 현재에 이르고 있습니다. 박정희 대통령때 대통령령으로 시작된 한국민족문화대백과발행으로 행정법상 조선 성균관 승계를 추가로 법제화. 성대 6백주년 행사때는 대통령.국무총리.교육부 장관 참석하였습니다.

.*성균관대,개교 6백주년 맞아 개최한 학술회의. 볼로냐대(이탈리아), 파리 1대(

윤진한 2021-07-12 16:35:02 | 122.***.***.140
카이로선언이후 프랑스.소련.폴란드등이 승인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국제법.국내법적 위상을 상기하고, 패전국 일본잔재로 한국영토에 주권이 없어온 경성제대 후신 서울대(패전국 일본잔재로 적산재산 형태)를 국립대로 강행할때, 전국적인 반대와 서울대생들의 등록거부.자퇴등이 있었던 상황도 인식해야합니다.

국제법상 일본이 항복후, 포츠담선언(카이로선언 포함)에 따라, 한국영토에서 일본의 모든 주권은 없어왔음. 경성제대 후신 서울대는 한국영토에 주권.자격.학벌이 없어왔음. 현행헌법 임시정부 구절(한일병합 무효, 을사조약등 불평등 조약 무효, 대일선전포고)에도 맞지 않는게 경성제대 후신 서울대임.해방후 미군정부터 국사 성균관(성균관대)교육을 시켜온 나라 대한민국임.

국사 성균관(성균관대)나라. 조선.대한제국 유일무이 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