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수요.안전이 중요...제주노선, 지금대로는 걱정"

노형욱 국토교통부 장관이 19일 환경부 심의에서 반려된 제주 제2공항 건설사업 전략환경영향평가서에 대해 "보완여부를 검토하고 있다"고 밝혀 주목된다.
이는 환경부 결정 후 처음 나온 공식적 입장이다.
노 장관은 이날 취임 100일을 앞두고 국토부 기자실을 방문한 자리에서 제2공항 문제와 관련해 "(검토하는)과정중이라고 밖에 말씀 드리지 못하겠다"면서 보완 검토 방침임을 밝혔다.
다만 노 장관은 이 자리에서 "공항을 짓는 건 여러 요인이 있다"면서 "국토부 입장에서는 항공수요. 안전, 이런문제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노 장관은 "환경(부)쪽에서는 환경훼손 그런 문제를 제기하는데, 지역주민 입장에서는 지역안에서도 위치에 따라 이해관계 접근이 다르다"며 "(제주)지역 내 여론도, 지난번 제주도에서는 신설해달라 얘기했는데, (이후에는)거의 반반으로 나눠진 상태고, 환경에서는 보완할필요 있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제주공항이 전세계에서 제일 핫하다"라며 "김포공항에서 제주가는 노선이 운행량이 세계적으로 제일 많은 노선"이라고 말했다.
이어 "코로나로 수요가 주춤하지만 인위적으로 제주 가는 수요를 통제하거나, 수요를 그대로 받아들이려면 지금대로는 걱정된다"라며 제2공항 건설의 당위성을 강조했다.
또 노 장관은 "환경부가 반려했던(내용을) 보완하는 상황"이라며 "SOC(공항.도로 등 사회간접자본) 인프라 등을 기획하는 것이 전부 아니고, 협의.조정 과정이 굉장히 늘어났다"고 말했다.
제주공항(제2공항) 반려 내용을 보완이 가능하다고 판단하느냐는 질문에 노 장관은 "그렇다"고 답하며 "포스트코로나 미래를 대비해 공간 이동의 문제를 미리 대응해야겠다는 생각"이라고 밝혔다.
노 장관의 발언은 제주 제2공항 사업을 폐기하는 것이 아닌 '보완'하는 방향에 무게를 둔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앞서 국토부는 지난 8월 5일 공개한 6차 공항개발 종합계획에 제주 제2공항 사업을 그대로 명시했다.
노 장관의 발언과 제6차 공항개발 종합계획에 제2공항을 명시한 것은 '사업 강행'을 염두에 둔 것으로 해석되면서, 앞으로 논란이 더욱 커질 전망이다.
한편 환경부가 지난달 20일 국토부가 제출한 제주 제2공항 건설사업 관련 전략환경영향평가서(재보완서)에 대해 '반려' 결정을 내리면서 제2공항 사업은 전면 제동이 걸렸다.
제주지역 국회의원을 중심으로 한 정치권 일각에서는 성산읍 입지의 제주 제2공항 사업 추진은 사실상 어려울 것으로 판단하고 대안 논의를 시작했다.
시민사회단체는 환경부의 반려결정을 환영하며 제주 제2공항 사업의 백지화를 선언한 바 있다.<헤드라인제주>
서귀포 동지역은
(효돈 영천 동홍 서홍 신시가지 중문)
정석비행장 활용으로 이미 대세가
굳혀졌다.
무산된 성산공항 집착말고,
진정한 서귀포 신공항 추진해서,
남조로 확장 조기개통!
서귀포-정석공항-구좌
직선도로 개통!
시급히 추진해주시기 바랍니다.
이기적인 성산투기꾼들이
새로운 대안 논의 못하게 발목잡네
어휴 말로만 서귀포시 발전
속으로는 성산 땅값 유지해달라 징징
제주공항 첨단화 추진 및 정석비행장
보조공항으로 서귀포신공항 추진!
투 트랙이 정답!
수몰위기 난산 신산 온평을
공항수혜지역으로 탈바꿈! 성산투기꾼 폭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