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화장품공장, 제주TP 직영체제로 전환...경제 파급효과는?
상태바
제주화장품공장, 제주TP 직영체제로 전환...경제 파급효과는?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수출판로 확대 및 고용창출 등 경제효과 기대

외부 기업체에 의해 운영되던 제주화장품공장이 내년부터 제주테크노파크 직영체제로 전환되면서 고용 창출 등 제주지역 주민들을 위한 경제적 파급효과가 생길 전망이다.  

제주특별자치도와 (재)제주테크노파크(이하 제주TP)는 지난 2005년 설립 후 지금까지 외부 기업체에 위탁운영 중인 제주TP 소유 '제주화장품공장'을 2014년 1월부터 직영체제로 전환해 운영한다고 30일 밝혔다.

제주도에 따르면 지난 2005년 산업통상부의 '제주바이오사이언스파크 조성사업'으로 화장품공장을 제주TP 바이오융합센터에 설립했으나, 그동안 국내 화장품 생산 전문기업에 위탁운영을 통해 제주도내 화장품기업들의 제품생산을 지원해 왔다.

이번 직영체제로의 전환은 최근 제주지역 화장품 관련 산업의 급속한 발전으로 제주 화장품기업(50개사)들의 제품생산 및 개발 수요가 급증하고 있고, 제주지역 제품의 경쟁력 확보를 위한 적정한 화장품 생산단가 유지 및 'made in Jeju'의 제주화장품 이미지 확보를 위해 추진된다. 

제주도는 성공적인 직영체제 전환을 위해 9월부터 총 3회에 걸쳐 제주화장품공장의 효율적 운영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워크숍을 개최했다.

제주화장품공장 내부 생산시설. <헤드라인제주>

특히, 제주도는 한국자치경제연구원에 '화장품공장 경영합리화를 위한 운영방식 및 경영분석' 용역을 의뢰해 경영분석 평가를 벌였다.

경영분석 평가 결과 제주TP 직영으로 전환해 5년이 지난 시점인 2018년 기준 연매출액은 610억원, 고용창출 238명, 생산파급효과 858억, 부가가치 파급효과는 444억원 등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가 있을 것으로 나타났다.

또 제주도내 화장품업체들 역시 영세한 제주도내 업체들의 임가공비 절감을 통한 성장기반 마련 등을 통한 지역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제주TP가 화장품공장을 직접 운영해 줄 것을 공통의견으로 제시했다.

제주화장품공장이 직영체제로 전환되면 제주TP는 제품개발과 주문생산(OEM), 품질관리 등을 직접 수행해 제주도내 화장품기업 제품의 품질 고도화 및 수출 경쟁력 확보를 지원하게 된다.

또 제주도외 화장품기업에 위탁생산됐던 지역 제품들이 제주에서 생산되는 기반이 조성되고, 제주산 청정자원을 활용한 화장품이 실질적인 'made in Jeju' 제품화 실현이 가능해진다. 

이외에도 대내외적으로도 지역화장품 제품의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게 되며, 제주도내외 판매는 물론이고 해외 수출까지 판로가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제주도 관계자는 "화장품 산업은 고용부가가치 창출효과가 크고 경기에 대한 민감도가 낮아 기간산업으로 육성할 필요가 있다"며, "화장품 산업을 관광객 유치의 주요한 테마로 활용해 청정 제주의 새로운 관광문화상품으로 육성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헤드라인제주>

<신동원 기자 / 저작권자 ⓒ 헤드라인제주 무단전재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