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내 중산간 일대에서 최상위 포식자로 군림하며 야생동물과 가축 피해를 입히는 야생들개를 유해조수로 지정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된 것에 대해 제주도내 동물보호단체들이 반발하며, 적극적인 포획과 입양 시스템을 구축할 것을 촉구하고 나섰다.
(사) 생명환경권행동 제주비건, (사)제주동물권행동 NOW, (사)행복이네협회 제주동물권연구소는 29일 공동성명을 내고 "제주도 중산간 지역의 유기견을 유해 야생동물로 지정하는 것을 반대한다"고 밝혔다.
이들 단체들은 "‘제주도 야생동물 보호 및 관리 조례’에서 ‘유해 야생동물’이라 함은 사람의 생명이나 재산에 피해를 주는 야생동물로서 환경부령이 정하는 것을 말한다"며 "야생화된 동물은 포함돼 있지만 산과 들에 버려져서 살아가는 유기된 반려동물인 개들과 일부 야생화된 개를 지칭하고 있지 않다"고 지적했다.
이어 "제주도 중산간 지역에 버려진 유기견들이 유해 야생동물로 지정이 되면 포획 허가를 받아 총기를 사용해서 사살하게 된다"고 강조했다.
또 "물론 중산간에 유기된 반려동물로 인한 가축 피해 등이 보고되고 있고 인명 피해의 우려가 있어 대단히 걱정스럽기만 하다"며 "그러나 쉽게 추정해보아도 중산간에 버려진 반려동물들은 먹을 것이 없어 인가로 내려오는 상황이 될 수 밖에 없고 배고픔에 다른 야생 동물에 피해를 주고 있는 것도 현실"이라고 주장했다.
단체는 "용역 보고서의 제주도민 대상 설문조사에 따르면 83%의 도민들은 대부분의 중산간 지역의 유기견들은 반려동물이었다가 버려진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며 "93% 이상 제주도민은 유기견이 발생되는 이유로 동물등록제가 제대로 이행되고 있지 않고 반려동물 유기에 따른 단속과 처벌이 되고 있지 않음을 지적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또 "지난 4월 동물자유연대의 '2016-2020 유실.유기동물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전국에서 인구 1만 명당 유실.유기동물 발생 건수가 가장 높은 곳은 제주도로 조사됐다"며 "2016~2020년 합계는 414.1건으로 서울 40건의 비해 10배를 초과하며, 2016년 4.37배에서 지난해 14.6배로 격차가 더욱 확대됐다, 5년 동안 전국에서 1위 자리를 한 번도 놓치지 않았다"고 꼬집었다.
이어 "전문가들도 지적하듯이 결국 제주도의 소극적인 반려동물 정책 실패와 반려동물을 돌보는 사람의 책임 인식 결여가 이러한 결과를 가져왔다는 것을 아무도 부인하지 못한다"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산간에 버려진 반려동물들만을 비난하는 건 옳지 못하다, 다른 측면에서 보면 그들은 인간에게서 몇 번이나 버려졌고 이제는 유해 야생동물로 지정이 되는 상황에 내몰리게 됐다"고 주장했다.
이와 함께 "제주도는 중산간 지역에 버려진 반려동물들을 유해 야생동물로 지정해 총기를 이용해 사살하려는 논의를 중단해야 한다"며 "뿐만 아니라 더 이상 그들을 방치해 또 다른 피해를 발생하게 해서는 안된다"고 강조했다.
이들 단체는 "중산간에 버려진 반려동물을 적극적으로 포획하고 그들을 위한 동물보호소 확충해 인간과 잘 어울릴 수 있는 순치를 통해 입양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며 "모든 개는 반려동물임을 잊어서는 안된다"고 밝혔다.<헤드라인제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