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학 총서 '재일(在日)을 산다-어느 시인의 투쟁사' 발간
상태바
제주학 총서 '재일(在日)을 산다-어느 시인의 투쟁사' 발간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일본 시단(詩壇)의 거장이며 재일제주인 1세인 김시종 시인과 문예・사회비평가인 사타카 마코토 씨의 대담집 '재일(在日)을 산다-어느 시인의 투쟁사'가 제주학연구센터 제주학 총서 49로 제주대학교 일어일문학과 이창익 교수에 의해 번역.출판됐다.

김시종 시인은 일본어를 근본적으로 이해하면서 심오한 해석을 통해 새로운 어휘를 창조하는 시인으로도 유명하다. 또한 일본사회의 우경화를 날카롭게 비판하는 사상가이기도 하다.

20세 나이에 4.3을 피해 일본으로 건너간 시인은 이 대담에서, 일제 강점기 때에 자신이 부끄러운 황국소년이었음을 고백했고, 일본으로 건너와 자신이 증오하는 일본어로 시를 쓰면서 자기와의 끊임없는 갈등을 표출해왔다. 

현재 일본의 우경화와 내셔널리즘의 확산을 우려하면서 이에 동조하는 문학인들과 정치인을 예리하게 비판하고 있다. 

이 책에서는 어린 시절의 제주도와 4.3당시 모습도 잘 그려져 있다. 어린 시절, 제주에서 공연된 우리 고유의 생소한 전통음악 연주에 항의하는 관중들의 소동, 4.3 당시 자신에게 닥쳤던 숙부의 죽음을 둘러싼 상황을 생생하게 증언했고, 수십년 지나서 고향에서 벌인 진혼 ‘굿’과 이를 통한 숙부가족과의 정신적인 화해 등을 담고 있다.

재일제주인 작가인 김석범 선생, 양석일 선생 등과의 에피소드, 우리에게 잘 알려진 작가인 윤동주, 김사량 등의 이야기들, 또한 북한과의 관계개선에 대한 일본정부의 자세도 다루고 있는 등 다양한 주제가 망라돼 있다.

이 책의 표제인 '재일(在日)을 산다'는 도일 후 일본에서 조총련 활동을 하던 자신이, 일본어로 시를 쓴다는 이유로 조총련에서 배척되고, 조국에도 갈 수 없는 자신과, 자신과 비슷한 부류의 사람들의 온갖 상황을 함축시키고 있다.

이의 연장선상이 한국과 일본 사이의 ‘경계인’이라 불리는 현재의 재일한국・조선인의 모습임을 보여주고 있다. <헤드라인제주>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