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시 도심 '음식물 퇴비' 악취소동, 문제는 행정이었다
상태바
제주시 도심 '음식물 퇴비' 악취소동, 문제는 행정이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음식물자원화시설 생산 퇴비 부숙도 검사 '부적합 결론
악취발생, 부숙 덜된채 반출 가능성...자치경찰에 수사의뢰
제주시 봉개매립장 음식물쓰레기자원화 공장.
제주시 봉개매립장 음식물쓰레기자원화 공장.

최근 한 목초지에 살포된 음식물쓰레기 퇴비로 인해 제주시 도심권 전역에서 악취가 진동하는 소동이 벌어졌던 가운데, 제주시가 운영하는 봉개동 음식물자원화시설에서 생산된 이 퇴비의 경우 부숙이 덜된채 반출되면서 악취를 유발했을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27일 제주특별자치도의회 홍명환 의원에 따르면, 제주도농업기술원은 최근 제주시가 의뢰한 음식물 부산물 퇴비에 대한 부숙도 검사를 실시한 결과, 퇴비가 얇게 쌓여진 경우를 제외하고는 모두 '부적합'으로 판정됐다. 

이 부숙도 검사는 지난 한글날 연휴기간인 10~11일 제주시 도심에 퍼진 악취의 원인으로 지목된 음식물쓰레기 퇴비의 부숙이 제대로 이뤄졌는지 확인하기 위해 실시됐다.

시료 채취는 야적된 퇴비의 높이에 따라 A지점(1.7~1.8m), B지점(1.2~1.3m,) C지점(0.7~0.8m) 등 3개 지점으로 분류해 이뤄졌다. 

분석 결과 야적 높이가 가장 낮은 C지점은 부숙도가 적합한 것으로 판정됐다.

그러나 A지점 및 B지점은 모두 부적합으로 판단됐다. 3개 지점에서 채취한 시료를 혼합한 시료 역시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

부숙정도에 대해 6단계 검사(콤백법)에서는 A지점 및 B지점 모두 '부숙 초기', 8단계(솔비타법) 검사에서는 부숙초기 또는 부숙 중기로 판단돼 살포하기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농업기술원은 야적 높이가 낮은 지점(C지점)의 경우 상대적으로 공기 투입이 양호해 부숙 속도가 빠른 반면, 야적 높이가 높은 지점(A, B)은 부숙이 느린 것으로 분석했다.

아직까지 쌓여있는 퇴비가 대부분 부적합 판정을 받으면서, 지난 추석 연휴 직전 반출돼 살포된 퇴비 역시 부적합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종합해보면, 농가에 보급되는 퇴비가 부숙이 덜된채 반출됐을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사실상 지난 악취발생의 원인은 목초지 관리인의 부실이라기 보다는, 퇴비를 충분히 부숙하지 않고 반출한 행정당국의 '책임'이라는 지적이 일고 있다.

그럼에도 제주시 당국은 제주도의회 행정사무감사 등에서 부숙에는 문제가 없었던 것처럼 변명으로 일관해 왔다. 

지난 19일 열린 행정사무감사에서도 의원들이 '부숙이 덜된 퇴비' 반출을 일제히 질타했으나, 제주시는 부숙에는 문제가 없었다는 취지로 응수해 왔다. 특히, 안동우 시장은 "퇴비가 아무리 적합으로 나와도, 어느정도 냄새는 난다", "일반 유기질 비료도 냄새 난다" 등의 변명으로 일관하면서 의아스러움을 샀다.

그러나 이번에 부숙에 문제가 있었다는 사실이 확인되면서 제주시는 퇴비 생산관리를 부실하게 해 왔다는 책임을 면하기 어렵게 됐다.

제주시의 음식물쓰레기 퇴비 생산시스템은 전면적으로 재검토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홍명환 의원은 이번 음식물쓰레기 퇴비의 부숙도 부적합 문제는 단순한 관리소홀이 아니라 폐기물관리법 위반 행위라며 이 문제에 대해 자치경찰에 수사를 의뢰했다고 밝혔다. <헤드라인제주>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딥페이크등(영상‧음향‧이미지)을 이용한 선거운동 및 후보자 등에 대한 허위사실공표‧비방은 공직선거법에 위반되므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삭제 또는 고발될 수 있음)
댓글수정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