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에 한 초등학교의 시험문제에 대한 학생들의 오답이 논란이 되었다는 기사를 본 적이 있다. 문제의 보기 중 ‘가구’가 아닌 것을 선택하라는 문항에 많은 학생들이 ‘침대’를 선택했기 때문이다. 당시 한 침대회사가 이슈를 일으켰던 문구는 ‘침대는 가구가 아닙니다, 침대는 과학입니다’였다.
상식을 벗어난 신선한 표현이 학생들의 머릿속에 각인되었던 것이다. 그 당시 그 침대회사는 소비자에게 단순한 가구로 인지되었던 침대를 인체공학적인 기술이 집약된 상품으로 인지시키며 침대업계 1위를 달성하고 그 입지를 굳건히 하였다. 가구에 대한 「생각의 변화」를 일으킨 광고 문구가 기업의 가치를 비약적으로 향상 시킨 것이다.
지금의 농업은 지구온난화에 따른 이상기후 및 자연재해 발생 우려 상승, 도시화에 따른 영농인구의 감소 및 고령화 등 부정적인 요소와, IOT(사물인터넷)기술 발전에 따른 영농 시설의 자동화 및 농산물의 지속적인 신품종 개발 등 긍정적인 요소가 병존한다. 새로운 농업의 형태가 선보이고 있으며, 영농인의 희소성이 대두되며 IOT 기술로 무장한 청년층도 농업에 뛰어들고 있는 추세다.
우리의 농업에도 '생각의 변화'를 일으켜 봄이 어떨까?
정부는 추상적인 목표를 세우고 성과에 연연하는 정책의 시행에서 벗어나, 정부의 권한을 부분적으로 지방지치단체에 이양하고 식량안보강화 등 국제농업협력과 원조 등 범국가적인 정책을 전담해야 한다.
그리고 지방자치단체는 정부 시책의 획일적인 이행에 그치지 않고, 정부로부터 이양받은 권한을 지역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농업인이 체감할 수 있는 정책을 추진하여야 하며, 농업인의 새로운 요구를 수용하고 정책화할 수 있는 열린 마인드도 가져야 한다.
더불어 농업인은 생계형 농업, 반복적인 경작의 한계를 넘어서고, 새로운 농법과 기술을 농업에 적용하여 양질의 친환경 농산물을 생산하고, 가공하여 판매하는 등 신농업의 주체가 되어야 한다.
농업은 인류가 존재하는 한 사라질 수 없는 국가 기간산업이자 촉망받는 미래성장산업이다. 예부터 지혜를 쌓은 농업인이 불안정한 기후환경과 변화하는 시대적 물결속에서 새로운 농업을 견인하고 더욱 발전시키도록 농업인과 중앙정부, 지방자치단체는 끊임없이 생각의 변화를 이끌어내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튼튼한 농업, 활기찬 농촌, 잘사는 농가’가 실현되는 미래를 꿈꾸어본다. <진유경 / 제주시청 농정과>
*이 글은 헤드라인제주 편집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제주농업의 미래 통찰력 대단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