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기초자치단체, 딱 맞는 그릇
상태바
제주도 기초자치단체, 딱 맞는 그릇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기고] 박옥희/ 서귀포시 중앙동주민자치위원회
박옥희/ 서귀포시 중앙동주민자치위원회 ⓒ헤드라인제주
박옥희/ 서귀포시 중앙동주민자치위원회 ⓒ헤드라인제주

아이들이 자라 독립을 하니, 커다란 집이 유감(遺憾)이다.

무엇보다 불필요하게 크다. 그리고 청소가 어렵다. 구석구석 먼지가 쌓이고 손볼 일들이 많은데, 내 손길을 아무리 바삐 움직여도 먼지와 고장이 늘어만 간다.

제주도가 그렇다. 1개의 광역자치단체다. 100만 인구 수원의 7배 면적이고, 서울의 3배 면적이다. 도지사 손길만 바라보기에는 많은 도민이 지쳐간다.

아이들이 독립하니, 굳이 밥을 해 먹지 않는다. 밥통도 10인분 짜리라 밥을 하기에는 그릇이 너무 크다. 커다란 밥통이 유감(遺憾)이다.

그래서 햇반을 사다 놓고 먹는다. 그릇이 작으니 좋다. 적당히 먹을 수 있고, 배고플 때 하나를 톡 뜯어서 먹기 편하다.

제주도가 그렇다. 그릇이 너무 크다. 숟가락을 어디에 꽂아서 먼저 먹어야 할지 모르겠다. 70만명의 제주도에서는 길을 잃어도 답변이 간단하다. 이럴 것이다. ‘길을 잃었는데, 여기가 어디 시인가요?’ ‘제주도인데요?’

다른 지역, 150만명의 강원도는 어떨까? 길을 잃으면 18개 시군의 이름이 나올 것이다. 화천군, 양양군, 동해시 등등.

제주형 행정체제 도입과 관련해서 제주도에 기초자치단체를 두는 방안이 하나로 제시되고 있다. 이는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앞서 말한 대로 대민 밀착행정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기초자치단체가 있어야, 각종 건의사항 등 목소리를 낼 수 있고 투표로 선출된 지자체장이 이러한 의견을 집약하여 책임행정과 정치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전에 부모님이 해주었던 말이 있다. ‘큰 그릇이 되어라.’ 하지만 시대가 변했다. 내가 부모가 된 지금은 자녀에게 말한다. 내가 먹기 좋고 먹을 만큼의 ‘딱 맞는 그릇이 되어라.’라고.

제주도에 기초자치단체가 도입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박옥희/ 서귀포시 중앙동주민자치위원회>

*이 글은 헤드라인제주 편지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2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지금 2023-09-19 16:29:01 | 112.***.***.30
이곳 저곳에서 이런 류의 글들이 자주 등장하는 걸 보니
정말 수상하네?

정신차리자 2023-09-19 13:19:46 | 220.***.***.242
기초 자치단체 <지방자치법>는 옛날로 회귀하는것이고ㅡ무조건 소송당한다ㅡ
ㅡ제주특별법 취지에 맞지않고, 불법성논란,

현재는,,다른도 특별법과 제주특별법이 확연히 다른점
제주는 JDC 역할을 생각해보면 이해된다
<2공항.트랩사업.항만 등 초대형 국책사업도 원칙적으론 jdc소관이다>
기초단체를 없애는 대신 그 역할을 JDc가 한다,,,,(이유를 생각요)
강원특별자치도법엔 기초 자치단체 구성이 필수다,,제주는 기초단체 바느시삭제필수

ㅡ앞으론,,행정계층을 논할 시기가 지금은 아님
ㅡ우선,특별법 개정한후
제주특별법 규정에 의한 기초자치단체 설립 문구삽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