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토교통부가 제주 제2공항 건설계획의 전략환경영향평가 협의가 끝나자 마자 기본계획안을 마련해 제주특별자치도와 협의하고 있는 가운데, 전략환경영향평가 내용에 대한 공개검증을 위한 토론회가 개최될지 주목된다.
제주제2공항강행저지비상도민회의는 16일 오후 민주노총 제주본부 1층 세미나실에서 이정미 정의당 당대표와 면담을 갖고 전략환경영향평가에 대한 토론회 개최를 요청했다.
이날 간담회에서 도민회의측은 "제2공항과 관련해 주민의견 방식을 총투표로 하는게 좋겠다는게 비상도민회의 의견"이라면서도 "국토교통부가 받아들이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고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도민투표가 필요하다는 여론이 크게 많기 때문에 여론의 압박을 쉽게 무시하지 못할 것이라고 생각한다"며 "주민투표를 실시해서, 그것으로 결정하자"고 제안했다.

도민회의는 또 제2공항 전략환경영향평가와 관련해 "전문기관들의 부정적인 의견들이 있었다"며 "환경영향평가 결과에 대한 검증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비용이 최초 계획보다 2조원 가까이 올라 7조원이 투입되지만, 항공수요는 오히려 최초 계획 당시보다 줄었다고 생각된다"며 "제주도 국회의원들은 토론회에 대해 명확하게 이야기하지 않고 논의하겠다고만 하는데, 정의당 차원에서 환경영향평가 관련 토론회를 열어주길 부탁드린다"고 요청했다.
이와 함께 "도지사를 압박해 원희룡 장관에게 주민투표를 요구하는 것이 좋은데, 일반적인 예상으로는 장관이 투표를 거부할 것이라 생각된다"며 "도지사 스스로 투표를 실시하는 방안이 있는데, 이것이 불법은 아니라는 대법원 판결이 있다. 이정도의 여론을 얼마나 만들어 낼 수 있는지가 관건"이라고 설명했다.

이정미 대표는 "주민투표는 원 장관이 반대하는 상황"이라며 "환경영향평가에서 제주도의회로 넘어왔을때 의회가 부결시키는 방안이 있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결과적으로 민주당이 다수 의석을 갖고 있기 때문에, 민주당 국회의원과 도의원들이 모호한 태도를 가져서는 안된다고 생각한다"고 진단했다.
그는 "날림 형식으로 제2공항을 만들어서는 안된다"며 "제주도는 우리나라의 큰 자산이므로, 도민과 국민들의 목소리를 담기 위해 중앙당 차원에서 여론을 펼쳐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헤드라인제주>
●주민의 제기 쟁점
♡정답 : 주민투표 2024년4월
국회의원 선거 와 함께 투표실시
●항공 안전을 위한 조류 충돌 방지
및 조류 보호
♡정답 ; 하도~표선 철새도래지 벨트.
법정보호종 56,000여마리
조류먹이 풍부하여 대체지로 유인불가
및 제주공항 대비 조류충돌 8배이상
●항공소음 대책
♡정답 : 소음 등고선 8.5km범위 성산.
구좌읍 민가.수중소음 예방책 없다
●법정 보호생물 보호
♡정답:맹꽁이.두견이.남방큰고래 등
멸종위기 개체별 생태적 이주할 장소
7년간 조사했지만 없다
●숨골 영향 등에 대한 조사
♡정답: 숨골 153곳 대부분 및 동굴조사
전문기관<생태원.환경과학원 등4개기관>
부정적의견이나 거짓.허위보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