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도 양돈산업에 매년 수백억원대의 보조금 등이 지원되고 있지만, 가축분뇨와 축산악취 등 문제가 이어지고 있는 만큼 지속가능한 양돈 산업 발전을 위해 적정 마릿수(사육두수)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는 제안이 나왔다.
19일 열린 제주특별자치도의회 제409회 제1차 정례회 도정질문에서 더불어민주당 송창권 의원(외도.이호.도두)은 "ESG경영이라는 말이 있다. 산업은 환경적인 것을 고려하지 않으면 지속가능할 수 없다"며 "양돈산업에 대해서도 적정 마리수가 어느 정도로 돼야 할 것인가를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송 의원은 "가축분뇨 관리 조례가 전면 개정됐는데, 내용은 가축분뇨를 정화처리하는데 정화처리한 수질기준을 제도화 시킨 것"이라며 "그런데 공공처리 외 시설들과 양돈농가의 처리시설 등에 대해서는 조례에서 미처 다 챙기지 못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오영훈 제주도지사는 "공공처리시설 외에는 24곳이 있는데, 철저히 관리할 것을 약속한다"라며 "추석 연휴기간 다큐멘터리 프로그램을 봤는데, 지하수 관리에 대해 더 크게 각성하지 않으면 제주에 지속가능한 미래는 없다고 생각한다"라고 답했다.
그러자 송 의원은 "의회 들어오고 나서 친환경 양돈산업을 위해 축산부서와 이와 관련한 이야기를 했다"라며 "그런데 축산부서는 진흥을 목적으로 하다보니 이야기가 진척이 안되더라"라고 분통을 터트렸다.
그는 "그래서 이제는 환경적으로 규제할 수 밖에 없다고 생각한다"며 "친환경 양돈사업이 가능할지 고민해 봤다"고 말했다.
송 의원은 "ESG경영이라는 말이 있다. 산업은 환경적인 것을 고려하지 않으면 지속가능할 수 없다"며 "양돈산업에 대해서도 적정 마리수가 어느 정도로 돼야 할 것인가를 고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제주에 돼지가 54만7000마리 정도가 있다고 들었는데, 용역에서는 (적정 사육두수가)50만에서 55만 마리로 결과가 나오는 것 같다"며 "단지 개인적인 사업장 내에서의 한계비용과 이익으로만 생각하지말고, 사회적비용을 포함시켜 계산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1년에 적게는 250억에서 450억 정도를 양돈산업에 지원하는데 평균적으로 300억원으로, 조수입은 4000억원에서 4500억원으로 연간 1조2000억원을 이야기한다"며 "매년 300억원을 지원하면서 주민들에게는 고통을 일으키고, 관광객에게 창피당한다. 제가 도지사라면 300억원 예산을 다 삭제해 버릴 듯 하다"라고 분통을 터르렸다.
송 의원은 "제가 양돈농가를 죄인 취급하려는 것은 아니다. 함께 가지 않으면 안된다"라면서도 "자기세대에 양돈사업을 하고, 아들딸에게 물려줄 수 있는 사업이길 바란다. 그러려면 친환경으로 가야한다"라고 강조했다. <헤드라인제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