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교육공무직본부 "사회적 차별 해소와 특수교육 실태 개선해야"
상태바
전국교육공무직본부 "사회적 차별 해소와 특수교육 실태 개선해야"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장애 학생 인권 선언문 발표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전국교육공무직본부는 20일 장애인의날에 즈음한 보도자료를 통해 "교육공무직에 대한 불합리한 사회적 차별을 이제는 멈춰야 한다"고 밝혔다.

본부는 "장애인 인권 운동계에서는 장애인을 시혜의 대상이 아닌 차별 해소를 요구하는 주체로 설정하고자 '장애인 차별 철폐의 날'이라고 명명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날을 맞아 특수교육 대상 학생의 교육권을 지원하는 노동자가 전국에서 사회적 차별에 대한 문제를 짚어 이에 대한 해소를 촉구하는 회견을 진행하기도 한다"며 "장애인이나 비정규직 노동자인 교육공무직에 대한 불합리한 사회적 차별을 이제는 멈춰야 한다는 바램을 담고 있다"고 밝혔다.

다음은 장애 학생 인권선언문 전문.

모든 사람은 존엄하고 평등하다. 오늘 우리는 이 한 마디에 선언문의 모든 내용을 담는다. 그러나 오늘날 존엄은 지향이고 평등은 당위일 뿐 현실사회에는 차별과 불평등이 뿌리내리고 있다. 사회 어느 영역에서나 그러하듯, 교육 현장에서조차 구조로 자리 잡은 차별을 마주하기란 그리 생경한 일이 아니다. 그것이 너무도 자연스럽고 익숙하기에 마주한 것이 차별이라 인식하기도 어려운 것이 오늘 교육의 자화상이다.

 '모든'이라는 표현이 ‘보편’과 등치 되어선 안 된다. 보편을 상정한 사회에서는 ‘다수’ 혹은 ‘정상’이라 표상되지 못하는 존재를 지워낸다. 누가 지하철을 설계하였는가? 비장애인이 설계했다. 누구를 위해 설계하였는가? 비장애인만을 위하여 설계했다. 그렇기에 전국교육공무직본부는 근래의 장애인 이동권과 장애인권리예산 쟁취를 위한 지하철 출근 투쟁에 대하여 배제된 동료 시민을 사회 공동체에 포괄하기 위한 공익 추구 투쟁이라 성명을 발표한 바 있다.

 교육 현장 또한 마찬가지다. 사회 공동체의 일원이자 시민임을 배워나가는 공교육 현장은 ‘모든’ 시민을 얼마나 포괄하고 있는가? 온통 비장애 학생 중심으로 설계된 우리 사회 속 학교 공간에서 교육지원 활동은 평등한 교육 접근성을 보장하기 위한 필수적인 교육복지다. 그런데도 장애 정체성을 가진 이들의 교육복지 지원 시스템에 관하여 경제 논리로만 접근하는 교육 당국의 태도는 정녕 떳떳할 수 있는가. 특수교육 대상 학생의 방과 후 과정 지원 전담 인력을 채용하라는 목소리를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역할 과중으로 대체하여 ‘비용 절감’하려는 것은 ‘인권 절감’이 아닌지 되돌아보아야 할 것이다.

 장애 시민에 대한 학습권 차별을 비정규직 노동자에 대한 차별로 완화하려는 시도는 사회적 차별의 구조를 방치한 채 서로의 인권을 제로섬 관계로 상정하려는 가장 질 나쁜 방식의 접근이다. 근대 이후 국가는 일상에서 지장을 겪는 특정한 종류의 신체적·정신적 다름을 비장애와 엄격히 구분하여 장애라 규정한다. 그 기준은 일상을 제공하는 환경에 따라 유동적이어야 할 것이나, 완고한 기준을 유지하는 것은 ‘정상’에 관한 완고한 기준에만 근거한다. 그렇기에 장애란 개인의 고유한 정체성임과 동시에 사회의 정체성과 교류하는 사회적 정체성이다. 비정규직이라는 사회적 신분으로 정의되는 우리 또한 국가가 상정하는 차별적인 노동시장 이분화에 근거해 차별받는다. 그러므로 우리 모두의 인권은 서로에 대한 제로섬이 아니라, 장애나 사회적 신분과 같은 특정 정체성을 배제하는 구조에 저항하고자 하는 동질적인 권리임을 이 자리에서 선언한다. 우리의 해방은 연결되어있다.<헤드라인제주>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딥페이크등(영상‧음향‧이미지)을 이용한 선거운동 및 후보자 등에 대한 허위사실공표‧비방은 공직선거법에 위반되므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삭제 또는 고발될 수 있음)
댓글수정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