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태양광.풍력 '출력제어' 문제 해결 '분산에너지' 도입 추진
상태바
제주 태양광.풍력 '출력제어' 문제 해결 '분산에너지' 도입 추진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주도, 산업부와 ‘제주형 분산에너지 추진 기본계획’ 수립
대규모 ESS 구축...그린수소 등 전력 소비 확대

전력 소비량에 비해 생산이 과도할 경우 태양광과 풍력발전 등 신재생에너지 발전소 작동을 멈추는 '출력제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분산에너지' 정책이 제주에서 추진된다.

제주특별자치도와 산업통상자원부는 12일 오후 1시 50분 제주시 구좌읍에 위치한 CFI에너지미래관에서 ‘제주형 분산에너지 추진 기본계획’을 수립·발표했다.

제주형 분산에너지 추진 기본계획은 산업부의 ‘분산에너지 활성화 추진전략’을 제주도의 실정에 맞게 발전·계승한 것으로 △분산에너지 친화형 인프라 구축 △분산에너지 기반의 전략 신산업 육성 △재생에너지 주민 수용성 개선을 위한 대책이 담겨 있다.

분산에너지란 중소규모의 태양광, 풍력, 연료전지 등 전력이 사용되는 지역의 인근에서 생산·소비하는 방식을 뜻한다.

태양광과 풍력발전 등 모든 재생에너지는 생산지에서 바로 소비되는 것이 아닌, 전력거래소를 거쳐 다른 곳에 공급되는데, 이를 탈피하는 것이다.

제주도는 지난해 870MW 규모의 태양광·풍력 설비를 구축했으며, 전체 설비 중 재생에너지 비중을 39%까지 늘리는 등 분산에너지 확대에 앞장서고 있다.

하지만 재생에너지 출력제어, 재생에너지에 대한 지역주민 수용성 저하 등 여러 문제점들도 함께 발생하고 있다.

분산에너지 개념도.
분산에너지 개념도.

이에 대한 해결책을 마련하기 위해 제주도는 산업부의 ‘분산에너지 활성화 추진 전략’을 토대로 산업부·전문가 등과 협의를 거쳐 지역의 특성과 고민을 반영한 ‘제주형 분산에너지 추진 기본계획’을 마련했다.

제주형 분산에너지 추진 기본계획의 세부 내용을 살펴보면 △대규모 에너지저장장치(ESS) 구축 △에너지 소비처 확대 등을 주 내용으로 하고 있다.

우선 분산에너지 친화형 인프라 구축을 위해 대규모 에너지저장장치(ESS)를 구축하고, 그린수소(P2G), 열에너지 전환·활용(P2H) 등 등 섹터커플링 기술을 활성화한다.

이와 함께 시장·제도 등 전력 신산업 기반 구축을 위해 통합발전소(VPP), 플러스DR(Demand Response) 확산 모델을 발굴하고, 지역 특성을 가미한 마이크로그리드를 구축한다.

도민·지역주도 거버넌스 구축을 위해 추진협의체·포럼을 운영하고 중장기적으로 도내 전문 에너지연구소 설치를 검토한다.

전문가·관계기관이 참여해 분산e 혜택 등을 검토하고, 이를 도민 공청회 등을 통해 홍보하게 된다.

산업부는 제주도·관계기관·전문가 등과의 지속적인 협업을 통해 ‘제주형 분산에너지 추진 기본계획’의 원활한 이행을 지원할 예정이다.

제주도는 정부 지원 등을 바탕으로 에너지 분산화·친환경화·스마트화로의 전환을 선도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구만섭 권한대행은 ‘분산형 에너지 활성화’에 대해 새 정부 국정과제 반영, 특별법의 조속한 국회 통과 등을 건의하면서, “정부와 함께 고민하며 수립한 제주형 분산에너지 추진계획을 잘 이행해 제주가 신재생에너지와 분산에너지 확대의 선도모델로 나아가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최근 심화되는 제주지역 내 출력제어는 전국으로 확산될 수 있는 문제”라며 “대책 마련을 위해 산업부의 각별한 관심과 지원을 부탁드린다”고 요청했다.

박기영 산업부 차관은 “이번 기본계획은 중앙정부가 제시한 정책 방향에 지역의 고민을 담아 계승·발전시켰다”며 “앞으로도 중앙과 지방, 그리고 관련 전문가들의 긴밀한 협업을 토대로 분산에너지의 원활한 확산 체계를 구축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헤드라인제주>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딥페이크등(영상‧음향‧이미지)을 이용한 선거운동 및 후보자 등에 대한 허위사실공표‧비방은 공직선거법에 위반되므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삭제 또는 고발될 수 있음)
댓글수정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