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라져가는 제주도 해안사구, 절대보전지역 지정 확대해야"
상태바
"사라져가는 제주도 해안사구, 절대보전지역 지정 확대해야"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환경단체, 해안사구 보전지역 지정 추진 환영 논평
"도내 해안사구에 대한 전수조사 필요"
설쿰바당사구 해안사구. <사진=제주환경운동연합>
설쿰바당사구 해안사구. <사진=제주환경운동연합>

제주특별자치도의 절대.상대.관리보전지역 통합정기조사 용역에서 사라져가는 제주도 해안사구를 절대보전지역 등으로 지정해 보전하는 방안이 제시되자 환경단체가 환영 입장을 밝히며 보전지역 대상을 확대할 것 등을 추가로 촉구했다.

제주환경운동연합은 12일 논평을 내고 "해안사구에 대한 절대보전지역 지정 논의 환영한다"면서 "앞으로 나머지 해안사구에 대해서도 보전지역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단체는 "해안사구는 우리나라 해안에 많이 분포하고 있지만, 제주도의 해안사구는 국내의 해안사구와는 생성배경부터 생태환경과 경관, 지질적 특징이 전혀 다른 독특한 사구이다"며 "그러므로 도외 지역의 해안사구에 비해서도 학술적 가치가 더 높다고 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하지만 그동안 제주도의 해안사구는 제도적인 보전장치가 없는 보전의 사각지대로서 막개발의 무대이기도 했다"며 "2017년 국립생태원의 조사 결과 전국에서 가장 해안사구가 많이 감소된 지역이 제주도일 정도였다"고 지적했다.

이 단체는 "일례로 김녕 해안사구는 전국 최대 해안사구였으나 개발로 인해 현재는 소형 사구로 축소되었고 1위는 충남 태안 신두리 사구에 돌아갔다"면서 "그런데 이번에 다행히도 행정차원에서의 긍정적인 움직임이 시작되었다"며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또 "제주도가 도내 5곳 해안사구에 대한 절대보전지역 확대 의지는 환영할 만한 일이다"면서 "물론 15곳 중 5곳에 대해서만 추진한다는 것에 대해서는 아쉬움이 있지만 첫술에 배부를 수 없는 것처럼 앞으로 해안사구 보전지역 지정의 시작이 될 것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안덕면 사계리 지역의 해안사구. <사진=제주환경운동연합>
안덕면 사계리 지역의 해안사구. <사진=제주환경운동연합>

이어 "앞으로 나머지 해안사구 지역에 대해서도 절대보전지역을 확대해 나가고 위에서 얘기한 환경부, 문화재청, 해양수산부에 의한 보호지역 지정 추진도 필요하다"면서 "사유지의 경우 재산권 침해 논란을 피하기 위해서라도 적극적으로 매입을 해 나가는 방안도 강구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단체는 "이를 위해서는 먼저 도내 해안사구에 대한 전수조사가 필요하다"며 "도내 해안사구의 현황과 가치를 정확히 파악하고 이 중 가치가 높은 사구를 선정하여 보호지역 지정을 추진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도의회 차원에서의 지원도 필요하다"며 "전국 최초의 해안사구 보전조례를 제정하거나 기존 조례의 개정을 통해서 해안사구를 보전할 방안을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제주특별자치도는 지난 7일 ‘제주도 절대・상대・관리 보전지역 통합 정기조사 중간보고회’를 통해 기존 보전지구에서 빠진 해안사구 중 주거지역이나 유원지 등 개발사업 부지를 제외한 국공유지를 절대보전지구나 경관보전지구 1등급으로 지정하는 방안을 제시한 바 있다.

대상지는 도내 15개 해안사구(표선,하도,신양,김녕,하모,사계,중문,섭지코지,평대,월정,함덕,이호,곽지,협재,설쿰바당) 중 사계사구와 김녕사구, 월정사구, 설쿰바당사구, 이호사구 등 5곳이다. 사계사구 중 국공유지를 절대보전지역으로 지정하고 나머지 4곳은 절대보전지구 등급을 상향할 계획이다. <헤드라인제주>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