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가 만난 4.3사람들 두 번째 이야기, '봄은 가도 봄은 오네'
상태바
작가가 만난 4.3사람들 두 번째 이야기, '봄은 가도 봄은 오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소설, 대담, 르포 등 여섯 명 작가 참여

사단법인 제주작가회의(회장 강덕환)가 '작가가 만난 4.3사람들'의 두 번째 책 '봄은 가도 봄은 오네'를 발간했다. 

지난 2018년 '작가가 만난 4.3사람들' 첫 번째 책자 '돌아보면 그가 있었네' 두 번째로 펴낸 '봄은 가도 봄은 오네'에는 모두 6명의 작가가 만난 제주 4·3 사람들의 이야기들이 소설과 대담, 르포 등 다양한 형식으로 담겨져 있다. 

김연미 시인은 4·3당시 총상을 입은 몸으로 동굴에 숨어 살았다가 극적으로 목숨을 건진 부순녀 할머니의 이야기를 소재로 한 '흐르지 않는 겨울'을, 부복정 작가는 4·3의 광풍으로 형님을 잃은 좌민형 씨의 삶을 소재로 '살아온 흔적을 닦다'를 써냈다.

김영란 시인은 이유도 없이 형무소 생활을 해야 했던 4·3생존 수형인으로 견딘 모진 세월을 '벚꽃 옹알이'라는 작품으로 그려냈다. 김동현 작가는 1947년 3·10총파업 및 당시 총파업에 참여했던 사람들과 양을 검사를 소재로 '쓸모의 시간'이라는 제목의 소설로 써냈다. 

이 작품들은 실존 인물을 모델로 그들이 살아와야 했던 삶을 이야기 소설의 한 형식을 빌어 소설적 기법으로 풀어냈다.

김경훈 시인은 재일 시인 김시종의 삶을 녹여낸 대담 '김시종, 4·3과 재일(在日)을 살다'를 묶었으며, 홍임정 소설가는 제주 4·3 진상규명 운동에서 큰 역할을 했던 '영원한 4.3기자 김종민'씨의 이야기를 인터뷰 형식으로 풀어냈다. 

제주작가회의는 "작가가 만난 4.3사람들이라는 테마로 발간한 두 권의 책자는 역사의 격랑을 겪어왔던 피해당사자와 후손뿐만 아니라 4.3관련 인물들의 삶을 단순한 구술사 차원의 접근이 아닌, 작가가 직접 인터뷰 및 취재 후 작가적 관점에서 제주4·3을 겪어온 삶의 구체성을 문학적으로 형상화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다"고 피력했다.

제주작가회의는 또 "기록되지 못한 기억들은 얼마나 많을 것이며, 몇 줄의 글로 항쟁의 기억과 죽음의 시간을 옮길 수 있을까를 고민할 수밖에 없었다. 채 영글지 못한 우리의 글에 자주 절망했다"며 "그들의 말을 담기에 우리의 글은 모자랐지만, 우리의 기록이 누군가의 가슴에 가닿을 작은 파문이길 희망했다"고 말했다. <헤드라인제주>

'봄은 가도 봄은 오네' 표지. ⓒ헤드라인제주
'봄은 가도 봄은 오네' 표지. ⓒ헤드라인제주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