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청년정책 효율성 강화 컨트롤타워 만들어야"
상태바
"제주도, 청년정책 효율성 강화 컨트롤타워 만들어야"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주지역 청년 정책이 다양한 부서에서 추진되면서, 중복성 검토와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컨트롤타워가 필요하다는 연구 결과가 제시됐다.

제주연구원(원장 김동전) 이중화 책임연구원은 13일 '제주지역 청년취업 현황과 정책 대응 과제' 관련 기본과제를 통해 제주지역 청년층의 고용동향, 유출입 현황, 관련 정책(중앙, 지자체) 및 대졸 청년층 노동이동 코호트 분류 및 특성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및 실증분석 결과에 따르면 다음과 같음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제공하는 2017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 2018년 제주도민 일자리 인식 실태조사 등을 사용했다.

통계청 지역별 고용조사(2015-2018년)에 따르면, 전국 청년층 인구(18-34세)는 감소세를 보이는 반면, 제주지역 청년층 인구는 증가세를 보였다.

2018년 하반기 제주지역 청년층 임금근로자는 7만 2900명으로 91.46%, 비임금 근로자는 6800명으로 8.5% 비중을 나타냈다.

임금수준별 청년층 임금근로자 비중은 ‘100만원 미만’은 12.3%, ‘100-200만원 미만’은 30.7%, ‘200-300만원 미만’은 45.7%, ‘300-400만원 미만’은 8.8%, ‘400만원 이상’은 2.6%였다.

제주지역의 경우, 수도권 대학진학률은 19.4%, 비수도권 대학진학률은 28.6%, 출신지역 대학진학률은 52.1% 수준을 보였다. 

고졸 취업률은 대학진학률보다 약 2.1%p 더욱 높아 54.2% 수준을 보이는 반면, 기타 5개 권역은 제주지역과 달리 출신지역 대학진학률이 고졸취업률 보다 더욱 높게 나타났다.

제주지역에서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수도권‧비수도권 지역의 대학을 진학 및 졸업 이후 제주로 회귀한 비율은 9.9%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교육학, 공학 전공자가 제주지역으로 회귀할 확률은 22.8%, 21.2% 수준이었다.

모형분석 중 지역 고졸출신들이 수도권 대학을 진학한 경우 여타 지역(비수도권) 대학을 진학한 경우보다 졸업 이후 출신지역으로 회귀할 확률이 더욱 높았다.

전공별로 살펴볼 때, 인문학 전공자에 비해 교육학 전공자가 출신지역으로 회귀확률이 약 62.5%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지역 출신이 비제주지역 출신에 비해 직장 만족도가 더욱 높았으며, 이직 의향 역시 제주지역 출신이 더욱 낮게 나타나고 있으나, 임금수준은 비제주지역 출신이 높았다.

직장의 만족도, 이직의향, 전공일치도 등 요소를 고려한 좋은 일자리에 대한 분석 결과 교육학, 공학 분야의 전공자가 인문학 전공자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제주출신이 비제주 출신에 비해 좋은 일자리 점수가 높은 것으로 본석됐다.

월평균 임금에 대한 분석 결과, 남성일수록 더욱 높게 나타났으며, 교육학이 인문학보다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이 책임연구원은 제주지역 청년고용 환경 개선을 위 △제주지역 내 청년정책을 컨트롤 할 수 있는 통합형 전담조직구축 △제주더큰내일센터의 사업과 관련해 청년범위가 확대 △고졸 청년들을 위한 체계적인 취업 활성화 방안 수립 △ 중앙정부 정책 연계형 사업 추진을 제안했다.

이 연구원은 "청년관련 다양한 사업을 추진 중이지만, 지역차원에서 해결이 어려운 문제에 대해 중앙정부와 다양한 논의가 필요하다"며 "대통령직속 일자리위원회의 경우 이미 울산, 경남, 수원 등 지역과 일자리 관련 토론회를 갖고 지역의 현안문제를 경청하고 있어, 이를 기회로 협력적 논의의 장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당부했다.<헤드라인제주>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