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군당국이 제주도 강정 해군기지에 이어 '남부탐색구조부대'란 명칭의 공군기지 건설을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제주특별자치도의회 정민구 의원이 20일 국방부가 제주 제2공항이 건설될 경우 공군기지를 설치하는 것을 포기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제2공항 찬성과 반대를 떠나 군사기지화를 막기 위한 장치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정 의원은 이날 오후 열린 제378회 제2차 정례회 도정질문에서 "국방부가 제주 제2공항 건설과 더불어 공항에 공군부대를 유치하려는 것으로 보인다"며 이를 막기 위해 정부와 협약을 체결해 문서로 남길 것을 제안했다.
정 의원은 "내년 정부 예산안에서 남부탐색구조부대 예산이 철회됐지만, 부대조건에 공군 예산 자체적으로 용역하라고 달렸다"면서 "지난 8일 열린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소위원회에서 국방부 장관이 '제주도에 제2공항 되면, 남부탐색구조부대 들어가는게 좋겠다고 공군이 생각하고 진행중'이라고 했다"며 남부탐색구조부대 예산이 철회됐음에도 군 당국이 제2공항에 군사기지 설치를 아직 포기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이어 "국토부와 협의됐느냐는 질문이 있는데 '확실하지 않지만 진행중'이라는 식의 표현이 있다"면서 "이것은 기본적으로, 제2공항 건설과 더불어, 공항 내에 공군부대 유치하는 그러한 상황으로 인식된다"고 꼬집었다.
그는 "이 시점에서 이 부분에 대한 방어벽을 만들지 않는다면 후손 볼 면목이 없다"면서 "국방부, 국토부, 제주도가 만든 '민군복합항 관광미항 건설 협약서'라는게 있는데, 규정에 보니 '알뜨르비행장 사용 등 국방부 장관은 공군남부탐색구조부대에 전투기 배치 계획이 없음을 확인한다'고 한다"며 이런 방식으로 제2공항 추진 여부를 떠나 군사기지가 들어오지 않는 것을 문서화 하는 내용의 협약을 체결하는 것을 제안했다.
이에 대해 원희룡 제주도지사는 "저는 제2공항을 군사공항으로 쓰려면, 설계단계에 반영돼야 한다"면서 "부분적 전용도 배제하도록 설계할 것으로, 미래에 슬그머니 돌릴 수 있는 장치 차단하도록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정경두 국방부 장관은 지난 8일 열린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에서 공군 남부탐색구조부대의 위치를 제주 제2공항으로 특정지었느냐는 더불어민주당 위성곤 의원의 질의에 "어차피 들어가기 위해서는, 국제공항이 새로 들어가게 되면 그 위치에 들어갈 수밖에 없다라고 보고 있다"고 답했다.
"국토부와 협의가 된 사항인가"라고 묻는 위 의원의 질문에는 "아직 확실하게 다 협의가 되거나 그렇지는 않은데 일단 계획 목적상 그렇게 작성을 한 것으로 알고있다"면서 "향후에 사업이 실질적으로 추진된다고 하더라도 제주도민들하고 충분히 소통을 하면서 진행이 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헤드라인제주>
국책사업으로 당연히~~~
경헌디 강정못지 않게 시끄러울 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