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온주감귤 재배, 100주년을 맞으며
상태바
제주 온주감귤 재배, 100주년을 맞으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기고]양창희 서부농업기술센터 과수특작담당

양창희 서부농업기술센터 과수특작담당. <헤드라인제주>
올해는 1911년 우리 제주도에 처음으로 온주(溫州)감귤이 들어와 재배를 시작한 지 100년이 되는 해이다. 그동안 다양한 계층에서 고품질 감귤 생산을 위해 부단한 노력을 하여왔다. 이러한 노력으로 재배기술은 상당히 높은 수준에 올라와 있는 반면 우리에게는 과잉생산이라는 또 다른 위기가 도사리고 있다.

최근 노지감귤가격 형성과 농가소득에 가장 큰 영향을 준 요소는 ‘적정 생산량’이다. 이는 최근 10년간 노지감귤의 생산량과 소득액이 ‘반비례’해왔음을 통해서 여실히 잘 나타나고 있다. 때문에 올해 감귤 농업인들의 가장 큰 관심거리는 과잉 생산이 예상되는 감귤의 작황이다. 감귤재배 농가 측면에서는 많게 생산되어 감귤소득이 낮은 반면, 인건비 등 비용은 많이 소요되어 농업인들의 소득 감소에 직결되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현상이다.

특히 감귤은 다른 과수에 비해 해거리가 심한 과수로서 이변이 없는 한 금년 생산량이 많을 것이고 경기 침체영향으로 소비가 감소 할 경우 제값 받기가 어려울 수 있어 감귤농업인들의 걱정거리가 아닐 수 없다. 이러한 상황을 극복 할 수 있는 확실한 방법은 밀식원 1/2간벌, 정지전정, 열매솎기 등 기본에 충실하고 고품질 감귤 생산을 위한 토양피복재배 실천 면적을 확대하는 것이라 생각한다.

우선 밀식원 1/2간벌을 철저히 해자. 햇볕을 충분히 받도록 하여 품질을 향상 시키는 기본은 간벌이다. ‘70~’80년대 감귤 나무를 처음 심을 때 차후 한 줄을 베어낸다는 조건 하에 심었기 때문에 간벌은 반드시 실천해야 하며 과잉생산이 예상되는 올해가 간벌을 할 최고의 적기이다.

다음은 정지전정을 잘 하자. 풍작이 예상되는 나무는 2월부터 전정을 시작하여 큰 가지수를 줄이면서 꽃수를 줄이고 새순이 많이 나올 수 있도록 자름 전정 위주로 정지전정을 해야 한다.
또 열매솎기 실천이다. 열매솎기는 2단계로 구분해서 실시하되 1차로 7~8월 사이 많이 달린 감귤원을 대상으로, 2차로 9~10월에 불량감귤 열매솎기를 중점적으로 실시한다.

마지막으로 토양피복재배 실천 면적 확대다. 맛좋은 노지감귤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7월에 토양을 피복하여 빗물을 차단하면서 적정한 수분을 유지하여 재배해야 소비자가 좋아하는 고품질 감귤을 많이 생산할 수 있다.

지금부터 시작이다. 과감한 실천을 못하고 망설이다 수확기에 가서 발등에 불이 떨어질 때는 이미 조치 할 수 있는 방법은 없다. 올해는 어느 해 보다 감귤재배 농업인들이 먼저 기본에 충실하여 제주의 생명산업으로 자리잡은 감귤산업이 새로운 발전의 디딤돌로 서는 제주 온주감귤 100주년이 되어야겠다는 생각이다.

<양창희 서부농업기술센터 과수특작담당>

#외부원고인 기고는 헤드라인제주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딥페이크등(영상‧음향‧이미지)을 이용한 선거운동 및 후보자 등에 대한 허위사실공표‧비방은 공직선거법에 위반되므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삭제 또는 고발될 수 있음)
댓글수정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