옹포천 하류 해안에서 '기수갈고둥' 대량 번식 확인
상태바
옹포천 하류 해안에서 '기수갈고둥' 대량 번식 확인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환경단체 현장조사 결과, 기수갈고둥 개체수 크게 증식
"제주도, 하천과 해안에 대한 관리 정책 바꿔야"
사진2_기수갈고둥.jpg
▲ 한림읍 옹포리에서 발견된 기수갈고둥.<사진=제주환경운동연합>
제주시 한림읍 옹포천 하류 해안에서 환경부 멸종위기 야생 동.식물 보호 2급으로 지정된 기수갈고둥이 대량 번식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돼 주목된다.

제주환경운동연합은 지난 16일 이곳에 대한 현장조사 결과 기수갈고둥 대량 번식 사실을 확인했다고 18일 밝혔다.

이 단체에 따르면, 옹포천 하류 폭 15미터, 길이 50미터 구간에서 기수갈고둥 성체 300개체와 산란된 수많은 알들이 발견됐다. 이는 지난 2016년 해양수산부의 의뢰로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이 발간한 '제주도 해안의 멸종위기동물 현황 조사 및 관리 대책 방안 보고서‘의 평균 30여 마리에 비해 10배 이상 증가한 것이다.

산학협력단은 지난 2015년 1년 동안 계절별로 옹포천 하류 해안을 계절별로 4번 조사해 개체수 평균을 낸 결과, 계절별 분포는 겨울철 27개체에서부터 여름철 35개체가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번 현장조사 결과는 3년여만에 10배 이상 폭발적으로 증가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제주환경운동연합은 "제주대학교가 2015년 전도 해안에 걸쳐 기수갈고둥 분포를 조사한 결과 옹포천 하류 해안을 포함하여 외도동 도근천, 외도동 외도천 하류, 외도동 연대 해안, 하귀 1리 해안, 화순 창고천 하류, 서귀동 연외천(천지연) 하류, 화북동 화북천 하류, 강정 솔목천 하류 총 9곳에서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면서 "이 중, 개체수가 가장 많은 곳은 화북천 하류로서 330개체가 발견되었고 가장 적은 곳은 연대 마이못 8개체였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런데 이번 옹포천 하류 조사에서 300개체가 발견됨으로써 향후 정밀조사를 할 경우 화북천 하류보다 많은 개체수를 보일 가능성이 높아 제주도 최대 기수갈고둥 분포지가 될 수도 있다"고 강조했다.

사진5_기수갈고둥과알3.jpg
▲ 한림읍 옹포리에서 발견된 기수갈고둥과 알.<사진=제주환경운동연합>

이 단체는 "이처럼 기수갈고둥이 극도로 적게 발견되고 있는 이유는 매우 까다로운 서식 조건 때문"이라며 "그 조건은 바닷물과 민물이 섞여 염분이 적은 물이 있는 지역인 '기수역'이어야 하고 파도가 세지 않은 내만형 해안, 해역수질기준 Ⅱ~Ⅲ등급 수준으로 오염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또 "분포구간이 넓지 않고 매우 짧은 수계에만 존재한다"며 "그러다보니 흐르는 하천이 매우 적은 제주도의 경우 보기 드물 수밖에 없는데, 더욱이 하천정비, 해안 개발 등 각종 개발과 수질오염 때문에 기수갈고둥이 더욱 희귀해질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기수갈고둥은 유속이 빠르고 잔자갈이 깔려있는 하천의 기수지역에 서식하는 무척추동물로 국내에서는 전라남도 보성, 고성, 경상남도 마산, 거제 등 남해안 지역과 제주도에서만 일부 발견되고 있다"고 전제, "기수갈고둥은 일본, 대만 및 중국에서만 보고될 정도로 세계적으로도 동아시아의 일부 국가에서만 발견되는 희귀한 종으로 형태나 생태에 관한 연구는 아직까지도 매우 적은 편"이라며 휘귀성을 강조했다.

이 단체는 "이처럼 숫자가 많이 늘어난 이유는 정밀 분석이 필요하겠지만 지난 2015년 마무리된 하천복원사업도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높다"며 "최근 조사결과, 기수갈고둥만이 아니라 제주도에는 드물게 도래하는 희귀한 구렛나루제비갈매기를 발견하였고 꼬마물떼새가 번식하는 둥지를 발견하기도 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이번 기수갈고둥 대량 번식 발견을 통해 앞으로 제주도의 하천 보전과 해안보전 정책 사업을 어떻게 해야 할지에 대한 시사점을 던져주고 있다"며 "기수갈고둥은 까다로운 서식조건과 매우 짧은 수계에 집중적으로 분포하여 작은 환경 변화에도 큰 피해를 볼 수 있어 보전대책이 시급히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단체는 "제주도당국은 옹포천 하류 해안에 대한 제주도차원의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며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함께 법적 보호 장치도 만들어야 하고, 또한 기수갈고둥이 분포하는 제주도내 9곳에 대해서도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보전대책을 마련해 나가야 한다"고 밝혔다.

또 "제주도의 전반적인 하천 관리 및 해안 관리를 토목건설 위주의 관점이 아닌 생태.환경 중심의 관점으로 옮기고 보전관리와 복원에 힘을 기울여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헤드라인제주>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딥페이크등(영상‧음향‧이미지)을 이용한 선거운동 및 후보자 등에 대한 허위사실공표‧비방은 공직선거법에 위반되므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삭제 또는 고발될 수 있음)
댓글수정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