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석 의장 "제주4.3, 침묵 멈추고 정명(正名) 위해 나서야"
상태바
김태석 의장 "제주4.3, 침묵 멈추고 정명(正名) 위해 나서야"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4.3, 더 이상 소요.무력충돌로만 남으면 안돼"
"국회, 4.3특별법 개정안 조속한 통과 촉구"
20190408+제371회+임시회+제1.jpg
▲ 8일 열린 제주도의회 제371회 임시회 개회식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는 김태석 의장. ⓒ헤드라인제주
김태석 제주특별자치도의회 의장은 8일 열린 제371회 임시회 개회사를 통해 "이제는 침묵을 멈추고, 두려움을 떨쳐내며 더 이상의 논란으로부터 단호해져야 한다"며 앞으로 제주4.3의 정명(正名)을 위해 나서야 한다고 당부했다.

김 의장은 "지난 주 4.3 평화공원에서 거행된 4.3 추념식에는 수많은 추모의 발걸음이 이어졌다"면서 "중앙의 정치인에서부터 어린 아이들까지 고개를 숙이며 4.3에 대한 기억과 눈물을 흘려야 했다"고 말했다.

이어 "4.3은 '제주4.3특별법'을 통해 1947년 3월 1일을 기점으로 1948년 4월 3일 발생한 소요사태 및 1954년 9월 21일까지 발생한 무력충돌과 그 진압과정에서 주민들이 희생당한 사건으로 정의되고 있다"면서 "4.3을 추모한지 70주년을 넘어 71주년을 맞이하는 현 시점에서도 제주도민의 4.3은 소요사태와 무력충돌 그리고 희생당한 사건으로만 남아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4.3 평화공원에는 당시의 잔혹함을 상징하며, 웅크려 있는 어머니 등신대는 아이를 안은 채, 여전히 이름 없이 찬 서리를 맞고 있다"면서 "어머니의 한 서린 눈물은 '언젠가 이 비에 제주4.3의 이름을 새기고 일으켜 세우리라' 라는 말로 위로하고 있으나, 어머니의 후손인 우리들은 71년의 세월에도 그 이름을 새겨놓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 의장은 "지난해 제주의 어린 여고생이 대통령께 '4.3 사건에 대해서 잘 모르지만, 전 국민이 4.3의 이름을 기억할 수 있게 노력 하겠다'라는 편지를 전달한 장면이 있다"면서 "그리고 편지지 한가운데에는 '역사의 정의를, 4.3에 정명을'이라는 문구가 선명하게 있다. 우리가 치열하게 말하지 못한 4.3의 정명을 어린 소녀는 말하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71년의 시간을 제주민 서로가 가슴을 안아주지 못한 채 침묵해 버린 것"이라며 "이제는 침묵을 멈추고, 두려움을 떨쳐내며 더 이상의 논란으로부터 단호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4.3 수형인'에 대한 '사실상 무죄'인 '공소기각'을 선고함으로써 더 이상의 죄 있는 사람은 제주에 없다"면서 "국방부와 경찰청장이 유감과 사죄를 공식적으로 표명한 지금은 제주 어느 곳에서도 4.3은 침묵해야할 '한 서림'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김 의장은 "지나치는 걸음만으로도 눈물을 흘리는 우리의 청년과 후손들에게 4.3의 올바른 이름을 찾아주어야 한다"면서 "제주 4.3이 정명을 찾고 우리 아이와 청년들에게 정체성의 뿌리가 되고 가치가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어 "희생과 속박의 이름에서 벗어나 '자주와 독립'을 외친 '도올 선생'의 말처럼 시대를 말할 수 있는 정명이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면서 "4.3 특별법 개정안 또한 반드시 올곧게 통과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번 제주 4.3추념식에 국회의 야당 대표들께서도 참석하셔서 제주 4.3을 추모하셨던 가슴으로 조속히 4.3 특별법 개정안을 통과시킬 수 있도록 촉구한다"고 밝혔다.

이어 "우리가 해야 할 수많은 일중에 가장 큰 일이 무엇이냐고 말한다면, 역사적 부분에서 우리가 바로 세워야 할 것은 바로 4.3평화공원 백비의 올바른 정명이 아니겠나"라며 "더 이상 침묵의 두려움이 아닌 바른 언사와 행동으로 4.3의 의미와 가치를 우리 아이들과 미래를 위해 만들어야 할 것이다"이라며 4.3의 정명에 대한 조속한 논의를 촉구했다.<헤드라인제주>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딥페이크등(영상‧음향‧이미지)을 이용한 선거운동 및 후보자 등에 대한 허위사실공표‧비방은 공직선거법에 위반되므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삭제 또는 고발될 수 있음)
댓글수정
댓글 2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산폭도 2019-04-08 23:54:55 | 125.***.***.18
1948년
3월15일 4·3사건 발발 직전에 남로당 제주도당 지도부가 급진적인 세력으로
교체되었다. 이들 은 1948년 2월 신촌회의를 열었고,  조몽구 · 이종우 ·
강대석 · 김달삼 · 이삼룡 · 김 두봉 · 고칠종 · 김양근 등 19명이 모였다.
무장투쟁 결행방침은 남로당 전남도당의 올구(organizer의 준말, 조직책
또는 조직 지도원을 지칭하는 표현) 이 동무가 재차 내도하여 무장 반격전
을 지시했으며 1948년 3월 15일께 남로당 제주도상위(島常委)에서 최종적
으로 결정되었다. 인민들의 대중적 투쟁을 가일층 활발하게 전개키 위하여
각 읍‧면과 행정단위로 강력한 자위대(自衛隊)도 조직하였다.

산폭도 2019-04-08 23:53:07 | 125.***.***.18
무장대 구성을 무장봉기 직후 시점에서 정리하면, △본격적으로 입산해
활동을 하는 정예의 ‘인민유격대’(人民遊擊隊) △각 행정단위에서
활동하는 ‘자위 대’(10명) △정찰 임무를 하는 ‘특공대’ △각 지방 상황을
감시하는 ‘특경대’ △유격대 사상교육을 하는 ‘정치 소조원’등으로 요약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