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 의사가 친절할 수 없는 '불편한 진실'
상태바
병원 의사가 친절할 수 없는 '불편한 진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고병수의 진료실 창가에서] <19> 저수가 의료현실의 문제

 유럽이나 캐나다 등지에서 오래 살다가 온 사람들이면 병원 관련해서 흔히 하는 얘기가 있다.

“우리나라 의사들은 왜 이렇게 불친절해?”
“내가 어디가 불편한지 자세히 알아보지도 않고 금방 약을 처방하고 말더라니까.”
“약에 대한 부작용이나 문제가 생길 수 있는 것들을 자세히 알려주는 걸 못 봤어.”

모두 맞는 얘기다. 그렇지 않은 의사들도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객관적으로 보면 환자를 위해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친절히 이것저것 살피면서 진찰을 하는 의사들은 그렇게 많지 않다. 외국의 의사들은 항상 친절하고 한국의 의사들은 못 되먹은 의사들만 있는 걸까? 의과대학 다닐 때부터 그렇게 교육을 받은 걸까?

그러면서 나 자신만이라도 친절한 의사라는 소리를 들어야지 하면서 노력을 해보기도 했다. 하지만 오랜 경험으로 볼 때 실패할 수밖에 없었다.

스님, 약 좀 제대로 드십시오

내가 일하는 진료실에는 고혈압 때문에 오시는 50대 중반의 스님이 한 분 계신다. 얼굴은 까맣고 주름도 많아서 나이보다도 늙어 보인다. 말씀도 없으시고 순하게만 보이는 이 스님은 딱 한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혈압강하제(고혈압 약)는 빼뜨리지 않고 잘 먹는 게 가장 중요한 건데, 스님은 가끔씩 정해진 날보다 10여일 이상 지나서 내게 오곤 했다. 분명 중간중간 약을 잊어버리는 것이다.

어느 날도 내게 찾아오셨기에 혈압을 재보고 상태에 대해서 몇 마디 나눈 다음 이번에도 나는 잔소리를 늘어놓는다.
“스님, 이렇게 혈압약을 잘 안 드시면 어떡합니까? 바빠도 이건 꼬박꼬박 드시라고 몇 번을 말했어요?”
“어휴, 절에 있다 보니 뜻대로 잘 안되네요. 죄송합니다. 다음부터는 잘 먹고 오겠습니다.”
“아니, 그건 전부터 여러 번 말했던 거고요, 이렇게 자꾸 안 드시면 언제 쓰러질지 모른단 말입니다.”

나는 화를 내면서 숫제 반 협박까지 하였다. 혈압강하제를 잘 먹으라는 다그치는 마음도 있었지만, 말을 잘 안 듣는 것에 대해 은근히 화도 나 있었다. 스님은 온 김에 기침이 오래도록 안 떨어지니 봐달라고 해서 진찰을 하려고 등을 걷어 청진기를 대려는 순간 침을 꼴딱 삼켜야 했다. 하늘로 날아오를 듯 등짝 가득 그려져 있는 용문신!

갑자기 이건 뭐예요 하면서 물어볼 수는 없고, 시치미를 뚝 떼고 진찰을 마치고는 혈압강하제와 함께 감기약 처방을 하고 스님을 보냈다.

그날은 하루 종일 스님과 문신에 대해 온갖 상상을 하게 되었다. 어쨌든지 출가하기 전에 그려진 것이 분명하고, 그렇다면 속세에 있을 때 좀 놀았다는 뜻.....? 그 순해 보이는 얼굴 뒤에는 조직 폭력배의 그림자가.....? 한 주먹에 날아갈 수도 있었을 내가 뭘 믿고 큰 소리를 냈으며, 본인의 사정을 잘 들어보려고 하지도 않은 채 짜증을 부렸던지.....

얼마 지나서 다시 스님이 왔을 때 나는 결코 화를 낼 수가 없었다. 다만 무슨 사정이 있어서 약을 빼뜨리는지 공손히, 아주 공손히 물어보았을 뿐이다.

“허허, 제가 게으른 게 가장 문제죠. 핑계라면 산 속에 절이 있다 보니 병원에 데려다 줄 사람 없을 때가 많아서 자꾸 늦게 됩니다.”

마땅한 차량이 없을 수도 있고, 폭설이라도 내리면 시내로 나오기가 여간 어려운 게 아닌 것도 나중에 알았다. 나는 그동안 스님이 어느 절에서 기거하시는지, 가족력이 있는지, 식생활은 어떤지 등 제대로 물어 본 적도 없었다. 약을 잘 안 먹는 것에 대해서 화낼 줄만 알았지, 그 연유를 묻고 대책을 마련해보려는 노력은 더욱이 하지 않았다.

이번에는 스님의 사정을 이해한다는 표정도 지어보고, 그래서 약을 넉넉히 처방해 드릴 테니 약이 남았어도 미리 오시면 좋겠다고 친절히 말씀을 드렸다. 좀 더 얘기하다 보니까 “내가 약을 가져다 드리겠습니다”라고 말할 뻔 했다.

친절할 수 없는 동네의원의 현실

친절하다는 것이 그 사람의 기질적인 면에서 나타나는 것일 수도 있지만, 사회로 치면 구조적인 문제가 더 크다. 내가 아무리 친절하려고 해도 바쁘게 일을 처리해야 하고, 그래봤자 내가 돌아오는 이익이 없다면 결코 만들어질 수 없다. 비록 의료라는 과업이 아무리 숭고하고 고귀한 것이라 할지라도.

환자가 많아서 잘 되는 병원이라면 빨리빨리 증상을 듣고 약을 처방해서 보내는 식으로 상품을 찍어내듯이 진료를 하게 된다. 환자 3명씩 진료실로 들여보내서 약속된 처방을 모니터에서 금방 출력하면서 환자를 많이 본다는 병원 얘기도 심심찮게 들을 수 있다. 반대의 경우, 환자가 없더라도 그 의사는 환자에게 2~3분 이상의 시간을 할애하지 않는다. 충분한 시간을 들여서 진료해도 돌아오는 것이 없기도 하고, 이미 몸에 밴 진료 습관 때문이다.

내가 아는 어느 독일 의사는 동네의원을 운영하면서 보통 하루에 30~40명의 환자를 본다고 했다. 자기는 환자가 많아서 그 정도이지만, 주변의 동네의원에서는 20~30명을 진료하는 게 보통이라고 한다. 진료에 들이는 시간도 10분 넘는 게 일상이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그들 정도로 의원 재정을 유지하려면 100명 가까이 환자를 진료해야 한다. 그러면 한 명의 환자를 보는데 3분 이상 할애할 수가 없다.

이러한 현상은 그만큼 환자를 많이 진료해야 수입이 유지되도록 만든 수가 문제 때문이다. 우리나라 의사들도 하루에 10분 이상 찬찬히 환자를 진찰하고, 상담도 하고 싶다. 하지만 우리의 일차의료 체계는 그것을 용납하지 않고 있다. 이것은 비단 의사들의 욕심이나 친절에 대해서 교육을 못 받아서가 아니다. 건강보험이 보편화되면서 생긴 병적인 현상이다. 물론 건강보험을 폄훼하는 게 아니라 저수가 정책으로 저급한 진료 현실을 만들어 낸 현실을 말하고자 함이다.

이러한 사실은 객관적인 자료를 들여다보면 쉽게 알 수 있다. OECD 회원국을 보면 동네의원 의사들(GPs)들은 우리보다 보통 1/3 정도로 적은 수의 환자를 진료하고 있으며, 주민들도 동네의원을 찾는 방문 횟수가 우리나라의 절반 정도이다. 우리는 그만큼 많이 환자를 보는 구조이며, 환자들도 쉽게 동네의원을 방문하도록 되어 있다는 뜻이다.

자료 출처 : OECD Health Data 2010 (2009년 수치, 단위 : 방문 건수/연)
어느 정책간담회 자리에서 나는 이러한 현실을 바로잡기 위해서는 적절한 수가 문제가 해결되면서 우리도 넉넉한 시간을 들여서 진료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했더니, 어떤 분은 그러면 의사들이 환자를 적게 보려는 노력은 하지 않고, 수입만 더 늘어나는 효과를 발생시킬 거라며 반대 견해를 내놓았다. 사실 이런 생각도 맞는 것일 수 있으나, 그것은 어떠한 보완 노력을 기울이거나 다소 시간이 지나면 해결될 문제라는 것을 놓치고 있고, 의사들에 대한 불신이 가득한 생각이다.

이런 상상을 해본다. 차기 정부는 의사협회와 시민단체 등과 오랜 협상을 한 끝에 드디어 의사들의 오랜 숙원인 수가 문제를 해결했다. 대신 동네의원은 환자관리에 충실하기로 약속을 했다. 처음에는 환자들이 예전 습관대로 동네의원을 찾다보니 의사들의 진료 수입이 많이 늘었으나, 예방 교육이 잘 되고 불필요한 진료가 없어져서 해마다 환자가 줄어들었다.

시행 5년쯤 되자 보통 동네의원들은 30~40명 정도의 환자 수를 유지하게 되었다. 그만큼 한 명 한 명 환자에 들어가는 의사들의 시간도 늘어났고, 주민들은 의사들로부터 더 많은 상담과 예방에 대한 지식을 얻을 수 있었다. 정부는 환자가 줄어든 만큼 또 적절한 진료 수가를 책정해서 동네의원들이 재정이 어렵지 않고 지역 의료를 위해서 충실히 일할 수 있는 바탕을 마련해 주었다. <헤드라인제주>

 

18대 대통령선거 후보자들의 일차의료 관련 공약 -1

(동네의원 진료 수가 관련) 2012년 10월 7일 전국의사결의대회 연설 참조

새누리당의 박근혜 후보는 “의사들이 환자 진료에만 전념할 수 있는 의료 환경을 만들도록 할 것이며, 적절한 진료환경이 이뤄질 수 있도록 저수가 개선 등 의료제도를 개혁하겠다”며 진료 수가나 의료 환경을 적절히 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주었다.

민주통합당의 문재인 후보는 “우리나라 의료제도로 국민도 의료인도 모두 힘들어하고 있으며, 특히 저수가 체계는 의료전문가들의 자존심을 무너뜨렸다”고 하면서 “의사들이 적정진료를 할 수 있도록 제도를 개혁하고, 일차의료가 국민 신뢰를 받고 의료의 중심이 되도록 하겠다”고 못 박았다.

이러한 후보들의 발언은 그냥 사탕발림의 말이 아닌 것이 연설문을 작성한 보건의료 정책 책임자들의 실제 계획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날 대회에 참석하지는 않았지만 여러 경로로 알아본 무소속의 안철수 후보나 진보정의당의 심상정 후보 등은 이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을 아직 한 바 없다. 이들은 일차의료에 대한 주치의제도 등 정책 제안을 하고 있지만, 이를 실현하기 위한 한 과제로서의 진료 수가 보장의 문제를 나타내지 않고 있다.
 

고병수 365일의원 원장 그는...

   
고병수 원장. <헤드라인제주>
가정의학과 전문의로 현재 제주시 '탑동365일의원'에서 진료하고 있다.

'제주대안연구공동체' 이사장을 맡고 있으며, 동시에 '새로운사회를 여는 연구원'과 '구로건강복지센터'에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는 '온국민주치의제도'가 있고, 우리나라의 일차의료제도 개선을 위해 활동하고 있다.

그의 <진료실 창가에서> 칼럼은 영국 의료제도와 국내 영리병원 도입 논란과 관련한 주제에서부터 직접 진료를 하면서 느끼는 점 등을 글로 풀어내면서 함께 공유하고자 합니다.

독자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립니다. <편집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딥페이크등(영상‧음향‧이미지)을 이용한 선거운동 및 후보자 등에 대한 허위사실공표‧비방은 공직선거법에 위반되므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삭제 또는 고발될 수 있음)
댓글수정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